동아시아 역사 472

신라와 왜의 접촉 기록 - 상편 [혁거세에서 내물이사금까지]

혁거세BC50, 왜인이 군사를 동원하여 변경을 침범하려다가, 시조에게 하늘에서 내려준 덕이 있다는 말을 듣고 돌아감 남해14, 왜인이 병선 100여 척을 보내 해변의 민가를 약탈하자, 6부의 정병을 보내 이를 방어함 탈해73, 왜인이 목출도를 침범. 왕이 각간 우오를 보내 방어토록 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함우오가 전사 (출처 : doopedia) 지마121, 왜인이 동쪽 변경을 침범함122, 서울 사람들이 왜병이 크게 몰려 온다는 헛소문을 듣고 앞다투어 산골짜기로 피난함. 왕은 이찬 익종 등으로 하여금 그들에게 사실을 알리고 돌아가도록 함123, 왜국과 강화함 아달라158, 왜인이 예방함173, 왜국 여왕 비미호가 사신을 보내 예방함 벌휴193, 왜인 천여 명이 큰 기근으로 인하여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옴 ..

동아시아 역사 2017.01.18

환단고기 계보 7 - 번한 왕위 계보, 아락에서 기준까지

※ 왕의 이름 - 재위 기간 - 재위 연도 31. 아락阿洛 - 41 - B.C.122432. 솔귀率歸 - 48 - B.C.1184 33. 임나任那 - 33 - B.C.1137신미년(B.C.1130)에 천왕의 조서로써 천단天壇을 동교東郊에 설치하고 삼신께 제사지냈다. 34. 노단魯丹 - 14 - B.C.1105북막北莫이 쳐들어와 노략질하니 노일소路日邵를 보내 토벌하고 이를 평정케 하였다. 35. 마밀馬密 - 19 - B.C.1092 36. 모불牟弗 - 21 - B.C.1074을해년(B.C.1066)에 감성監星을 두었다. 37. 을나乙那 - 41 - B.C.1054갑오년(B.C.1047)에 주나라 왕 하瑕가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 38. 마휴麻庥 - 3 - B.C.101439. 등나登那 - 30 - B..

동아시아 역사 2017.01.18

고려사절요 인물전 태조 왕건 시대 - 5 [탐라 태자, 안북부, 경순왕 등]

백길白吉 정위正位 토두土豆 정조正朝 우릉도芋陵島 사람. 고려에 토산물을 바치고 관직을 제수 받음 : 우릉도芋陵島 정악廷악 서학박사西學博士 서경西京에 학교가 없었는데 정악廷악이 파견되고 나선 서경에 학문이 크게 일어남 : 서경西京 선규善規 보윤甫尹 신라에 파견되어 직위에 맡는 선물을 내림 평환平喚 원윤元尹, 진두鎭頭 강덕진剛德鎭의 성을 지킴 : 안북부安北府, 강덕진剛德鎭 (출처 : [1차여몽전쟁]-함신진,철주성,귀주성) 만세萬歲 대광大匡 대우도大牛島를 공격하는 후백제 군을 막아내지 못함 : 대우도大牛島 윤봉尹逢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응崔凝의 양보로 광평시랑廣評侍郞이 됨 왕중서王仲瑞 대상大相 후당後唐에 조공을 바침 재훤才萱 원보元甫, 진두鎭頭 통해진通海鎭의 성을 지킴 : 통해진通海鎭 왕철王鐵 섭시중攝侍中 한헌옹..

동아시아 역사 2017.01.18

기효람, 열미초당필기에 여우 이야기를 쓰다 [지식인의 위선과 오만]

먼저 읽어볼 글 - 왕윤(王允)은 왜 채옹(蔡邕)을 죽였는가? [클릭] 윗글의 맨 마지막에 나오는 여우 이야기에 대한 글입니다. 윗글은 전반적으로 왕윤이 채옹을 죽인 이유를 담고 있는데, 지식인(사람)이 지식인(사람)을 증오해서 저런 사달이 나게 된 것이죠. (저서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를 통해 지식인들의 위선과 오만을 지적) ☆ 열미초당필기 중 - 여우 이야기 한 과객이 여우 신령에게 물었다. "선생께서는 도에 달통하셨고 수양으로 신선이 되셨는데, 그래도 두려운 것이 있습니까? 여우 신령이 대답했다. "본래 만물은 상생과 상극을 거듭하는 법인데, 어찌 아무것도 무섭지 않을 수 있겠는가!" 과객이 다시 물었다. "그렇다면 무엇이 가장 두렵습니까?" 여우 신령은 조금도 망설임 없이 한마디로 대답했다. "여..

동아시아 역사 2017.01.17

오대십국, 이 표현이 맞을까? [왕부지의 비판]

... 객관적으로 볼 때 오대십국의 시기를 53년간으로 한정하는 것은 적잖은 문제가 있다.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는 755년부터 당나라가 공식적으로 멸망하는 907년까지 약 150년 동안 지방에 근거지를 둔 절도사節度使가 사실상의 독립국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5대의 창업주 모두 안녹산 및 사사명, 주차, 이희열 등 '안사지란' 이후에 등장한 번진 군벌세력의 후신에 불과하다.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이는 명대의 왕부지가 이미 독통감론에서 갈파한 것이기도 하다. "소위 '5대' 용어는 송나라 사람들이 멋대로 만들어 붙인 것에 불과하다." 당나라 역사를 3백년으로 간주하는 것은 왕부지가 지적했듯이 송대의 역사관을 답습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8세기 중반에 일어난 '안사지란安史之亂'을 계기로 당나..

동아시아 역사 2017.01.17

환단고기 계보 6 - 번한 왕위 계보, 치두남에서 서우여까지

☆ 번한 왕위 계보(74대, 존속연도 : 2140년) 1. 치두남蚩頭男 - 83 - B.C.2233치우천왕의 후손으로 지혜와 용기가 뛰어나게 세상에 알려졌다. 단군은 곧 불러보시더니 이를 기이하게 여기시고는 곧 그를 번한으로 임명하고 겸직하여 우虞의 정치를 감독하게 하였다. 경자년(B.C.2221)에 요중遼中에 열두 개의 성을 쌓았으니, 험독險瀆, 영지令支, 탕지湯池, 용도, 거용, 한성, 개평, 대방, 백제百濟, 장령, 갈산, 여성이 그것들이다. 2. 낭사琅邪 - 14 - B.C.2251치두남이 죽으니, 아들 낭사琅邪(2대)가 즉위하였다. 이해 경인 3월 가한성可汗城을 개축함으로써 예상하지 못했던 일에 대비하였다. 가한성은 일명 낭사성이라 하니 번한의 낭사에 세워지었기 때문이다. (출처 : 创意卡牌神仙..

동아시아 역사 2017.01.17

신라전 골품편 6 - 민애왕에서 경순왕 시대까지

※ 왕명, 이름, 직위, 등장 연도, 행적, 관련 지명순 (출처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神武王陵(신무왕릉)) ☆ 민애☆ 신무 ☆ 문성 김열金說 사지舍知, 기양현령祁梁懸令855, 왕의 동생. 창림사 무구정탑을 만듬: 창림사昌林寺, 웅주熊州 (출처 : 경주 창림사 삼층석탑 ‘무구정탑원기’ 발견) ☆ 헌안 ☆ 경문 김윤金胤 왕자王子, 소판蘇判, 진봉사신進奉使869, 당에 사은하며 조공을 바침 (출처 : 삼국시대, 당나귀 귀를 가진 경문왕) 경문왕의 귀는 진짜 당나귀 귀였을까요? 경문왕이 왕위에 오를 무렵 신라는 어지러웠어요. 왕권 다툼도 심하고, 귀족들은 제멋대로 행동했지요. 이에 경문왕은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어요. 신라의 옛 영광을 되살리기 위해 황룡사 탑을 다시 짓고, 지방 호족의..

동아시아 역사 2017.01.17

당선되어 안타까운 정치인 - 확인용 (역덕후로서 안타까움)

트랙백 - 이번 총선 당선되어 안타까운 정치인들 몇(추가) [클릭] 을파소 님이 2016년 4월에 올린 글인데 이제야 봤네요. 잘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확인 차 포스팅합니다. 새누리당 이정현, 전남 곡성군 당선 2015년 10월 2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 중, "야당이 도대체 왜 이렇게 좌편향 교육을 기어코 하려고 우기는지 생각해본다." "언젠가는 북한 체제로 적화통일이 될 것이고 그들의 세상이 됐을 때를 대비해 남한에서 자라난 우리 어린이들에게 미리 그런 교육을 하겠다는 것." "이런 불순한 의도가 아니고서 어떻게 이런 교과서를 만들어서 가르치려 하고 온몸을 던져서 이것을 지키고 막아내려고 하느냐"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비례대표 1. 2015년 3월 더불어민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도..

동아시아 역사 2017.01.16

환단고기 계보 5 - 마한 왕위 계보, 웅백다에서 맹남까지

☆ 마한 왕위 계보(35대, 존속연도 : 2059년) 1. 웅백다熊伯多 - 55 - B.C.2233단군왕검은 천하를 평정하시더니 삼한三韓으로 나누어 관경管景을 만드시고 곧 웅백다熊伯多를 봉하여 마한馬韓이라고 하였다. 달지국達支國에 도읍하였으니 역시 백아강白牙江이라고도 불렀다. (출처 : [이야기 한국사] 남부 소국의 연합 '삼한'… 벼농사·토착 문화 발달) 2. 노덕리盧德利 - 51 - B.C.2279 3. 불여래弗如來 - 48 - B.C.2229명을 내려 칠회七回의 책력을 백성들에게 나눠주었다. 이듬해 계축년(B.C.2228) 봄 3월 처음으로 백성들을 가르치고 버들을 백아강에 심고 도정都亭을 지었다.병진년(B.C.2225)에 삼일신고의 비를 새겨 남산南山에 세우게 했다.경신년(B.C.2221)에 도전..

동아시아 역사 2017.01.16

고려사절요 인물전 태조 왕건 시대 - 4 [흥달, 견훤,신숭겸 등]

원보元甫재충在忠후백제 장군 추허조鄒許祖등을 사로잡고 대량성大良城을 부숨: 대량성大良城 흥달興達 성주城主왕건이 강주康州를 순행할 때 후백제의 자기 무리와 함께 귀순함: 강주康州, 고사갈이성高思葛伊城, 청주淸州 (출처 : 길공구의 고려사) 준달俊達927년, 흥달의 맏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귀순함: 진주珍州 웅달雄達927년, 흥달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귀순함: 한수寒水 옥달玉達927, 흥달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귀순함: 장천長淺 제선제宣 정조正朝배산성拜山城이 축조되자 그곳을 지킴: 배산성拜山城 장명長命 원보元甫순식順式의 아들. 수도에 와서 숙위를 함. 후에 왕씨성과 염廉이란 이름을 받음 공훤公萱 시중侍中, 대장군大將軍, 대상大相견훤이 신라의 수도를 공격하자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군을 이끔. 통일전..

동아시아 역사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