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쇄박물관 13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방법과 재료들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벌집의 찌꺼기를 가열, 정제하여 얻어지는 밀랍에 자본을 붙여 글자를 새긴 뒤 이암(석비레), 황토, 모래 등을 혼합한 흙으로 감싸 주형을 만든다. 주형이 마른 뒤 가열하여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쇳물을 부어 활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1. 글자본을 밀랍봉에 뒤집어 붙여 밀랍자를 새긴다. 2. 밀랍자를 밀랍가지에 붙인다.3. 이암(석비레), 황토, 모래 등을 혼합하여 밀랍가지를 감싸 주형을 만든다. 4. 주형이 마르면 열을 가해 밀랍을 녹인다. 5. 주형 내에 쇳물을 부어 활자를 만든다. 6. 주형을 깨뜨려 가지쇠에 붙은 활자를 떼어내 다듬어서 완성한다.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재료1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재료2 출처 - 고인쇄박물관

동아시아 역사 2017.08.09

금속 활자 주조 및 인쇄 과정

금속 활자 주조 및 인쇄 과정 청주 고인쇄박물관에 소개된 활자 주조 방법과 인쇄 과정입니다. 활자만들기1.글자본 붙이기 활자만들기2.밀랍글자 새기기 활자만들기3.밀랍가지 붙이기 활자만들기4.흙채우기 활자만들기5.쇳물붓기 활자만들기6.낱개활자 완성하기 활자만들기7.조판하기 활자만들기8.인쇄하기 밀랍 재료와 인쇄 과정 밀랍재료-밀랍막대 밀랍재료-밀랍가지 및 탕도 밀랍재료-밀랍주형 밀랍재료-활자가 주성된 모습 완성된 금속 활자 금속활자로 찍은 책종이 출처 - 청주 고인쇄박물관

동아시아 역사 2017.08.06

한국의 옛 인쇄문화 - 조선의 주자소와 교서관

한국의 옛 인쇄 문화 한국에서 인쇄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각종 그림과 기호, 문장을 비롯하여 한자漢字를 기록한 비문碑文과 금석문金石文 등을 바탕으로 삼국시대에 이르러 형태를 갖춘 기록물이 생산되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시대에 목간木簡, 닥종이에 먹으로 쓴 사경寫經 등이 발견되고 있으며, 문헌상의 기록에서도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역사서를 편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중국으로부터 불교의 전래와 함께 각종 서적이 유입되면서 이를 보급하고 유통하기 위한 인쇄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바이두 이미지) 고려의 인쇄문화는 불교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하였다. 불교국가로서의 이념 및 체제정비와 맞물려 각종 불경과 대장경이 대형 국가사업으로 시행되었다. ..

동아시아 역사 2017.08.01

세계 인쇄 문화 연표 - 세계편

세계편 B.C, 4000년 - 메소포타미아 설형문자로 새긴 책 간행 B.C, 3500~3000년 - 이집트 상형문자로 쓴 파피루스 책 간행 B.C, 1700년 - 페니키아민족 알파벳문자 개량 B.C, 1200년 - 은나라 갑골문자 사용 B.C, 238년 - 서양에서 로마문자 사용 B.C, 100년 - 한나라에서 문자 사용 105년 - 채륜蔡倫이 종래의 제지법 개량하여 다량 생산175년 - 한나라 석경石經을 대학문 밖에 세워 탁인托印 시작 270년 - 중국 먹墨 만들어냄 610년 - 고구려 담징曇徵이 일본에 채색법, 종이와 먹 만드는 법을 전함 700년 전후 - 정국에서 목판 인쇄술 싹틈770년 무렵 - 일본 백만탑다라니 간행 868년 - 당나라 왕개王玠 금강반야바라밀경 간행 956년 - 오월국왕 전홍숙錢..

동아시아 역사 2017.07.27

신라 시대 인쇄술 - 화엄경, 다라니경, 민정 문서(촌락 문서)

고대의 각종 그림과 기호, 상징과 같은 초기 기록문화단계를 거쳐 중국에서 전파된 한자漢字를 바탕으로 각종 비문碑文과 금석문金石文이 만들어졌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각종 목간木簡과 닥종이에 먹으로 쓴 사경寫經이 제작되었으며, 문헌 기록에 의하면 역사책이 편찬되는 등 기록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한편,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하고 이와 함께 각종 서적이 유입되면서 생산된 기록을 보급하고 유통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이를 위해 독자적인 판본板本을 만들어 기록을 다량으로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는데, 나무판에 문자를 새기고 이를 종이에 찍는 목판 인쇄가 시작이었다. 한국에서 특판인쇄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966년 10월에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제21호)..

동아시아 역사 2017.07.26

조선 시대 한글 활자 인쇄본 (책의 판식과 명칭)

조선 시대 한글 활자인쇄 (1) 세종은 한글을 제정하여 반포하고, 이를 인쇄하기 위해 한글 활자를 만들었다. 한글 활자는 금속활자 외에 목활자로도 만들어졌으며, 이들 활자는 한문을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 등을 간행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17세기 후반~18세기에 제작되어 사용된 한글 활자 실물 일부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초기 한글 활자로 찍어낸 책으로는 석보상절釋譜詳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밖에도 을해자 한글 활자, 경서자 한글 활자, 무신자 한글 활자 등 약 20여 종의 한글 활자가 만들어져 함께 사용되었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금속활자본/한글 활자세종이 소현 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한 석보상절의 각 구절에 석가모니의 공력을 찬양하여 손수 우리말로 악장체..

동아시아 역사 2017.07.13

조선 시대 활자의 조판과 인쇄, 인쇄 관련 규정

주자소1403년(태종 3)에 설립되어 1900년대 초반까지 500여 년간 조선 시대 금속활자의 주조와 인쇄 활동을 주관한 중앙관서 활자의 조판과 인쇄 1. 인판 틀을 준비한다.2. 인판 틀은 네 변에 둘레를 돌리고 중간에 판삼을 마련하고, 각 줄은 계선으로 칸막이를 한다.3. 인쇄하고자 하는 원고 또는 책의 본문을 창준이 차례로 부른다.4. 수장이 활자를 찾아내어, 그 원고 위에 벌려 놓는다.5. 골라 놓은 활자가 한 장 분량이 되면 판에 올린다.6. 균자장은 활자 배열이 끝나면 대나무 조각 등으로 활자의 틈에 끼워 움직이지 않게 한다. 또 활재 다지개 등으로 활자를 다져 수평이 되도록 바로 잡는 작업을 한다.7. 균자장이 판을 짜놓으면 인쇄가 시작된다. 먹솔로 활자면에 먹물을 고루 칠한다.8. 인출장은..

동아시아 역사 2017.07.07

금속활자인쇄의 교정방법 - 청주 고인쇄박물관

금속활자 인쇄의 교정은 보통 세 번의 시험인출과 교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초견初見, 재견再見, 삼견三見이라 하였다. 주된 교정내용은 잘못된 글자, 빠진 글자, 좌우로 기운 글자, 인쇄상태 등이다. 교정방법은 시험인출한 교정지에 붉은색으로 부호와 문자로 수정을 지시하였다. 교정쇄校正刷활자를 조판한 후 인쇄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시험 인출한 교정지이다. 인본이 완성되면 교정지는 대부분 폐기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된다. 본 교정지는 책 표지로 사용된 것을 떼어낸 것이다. 출처 - 청주 고인쇄박물관

동아시아 역사 2017.06.29

청주 흥덕사지 출토 유물 - 고인쇄박물관

직지에는 이 책이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흥덕사가 1984년 '운천지구택지개발사업'을 시작하면서 진행한 '운천동사지발굴조사' 중에 새로운 절터가 발견되었다. 이에 1985년에 이 절터에 대해 발굴조사를 하였는데, "서원부흥덕사西原府興德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청동금구靑銅禁口 조각과 "황통십년흥덕사皇統十年興德寺"라고 새겨진 청동불발靑銅佛鉢이 출토됨으로써, 이곳이 직지를 인쇄한 흥덕사지로 확인되었다. 이밖에도 '계향지사桂香之寺', '대중삼년大中三年(849)'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 조각, 청동소종, 금강저, 철불나발편 등이 출토되었다. 흥덕사지 치미전통건물의 용마루 양쪽 끝에 올려 건물이 더욱 웅장하게 보이도록 하는 기와로 '망새'라고도 한다. 건물의 권위나 위엄을 상징하며, ..

동아시아 역사 2017.06.08

우리 민족 인쇄의 시작과 역사, 사례

인쇄의 시작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또 전달받는 정신적, 심리적인 교류는 인류문화의 시작과 함께 존재해왔다. 음성, 몸짓과 같은 원시적인 매개수단에서부터 언어와 문자, 인쇄를 거쳐 현대의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다양한 소통수단을 통해 끊임없이 정보를 생산, 전달하고 유통해왔다. 또 이러한 과정의 기술적인 진보와 발전은 곧 인류 문명사의 근간이 되어왔다. 그 가운데 인쇄는 정보의 기록과 전달을 위한 가장 획기적이며 합리적인 매체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인류역사에서 현재와 같이 정보의 대량 보급과 유통이 가능해진 것은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니다. 인간은 음성과 몸짓을 통한 원시적인 의사 표현 단계를 지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만..

동아시아 역사 2017.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