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472

유의경의 세설신어 해제解題 - 2, 안길환, 명문당

세설신어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후한말부터 위진에 걸친 동안, 그 시대 사람들의 언행을 모아놓은 책인데 그 배경이 되는 시대는 어떤 시대였을까? 후한 왕조가 붕괴의 조짐을 보였을 때 환관의 전횡에 반항하여 일어난 기개의 선비들은 자신들을 청류淸流로 보고 크게 정치 언론을 폈다. 이것을 청의淸議라고 한다. 조조가 권력을 휘두르게 되자 그는 강력하게 언론을 압박했고, 명제에 이르러서는 특히 강하게 언론 탄압을 하였다. 이때 정치적 권력을 백안시하고, 권력자들이 방패로 삼는 유교적 예교를 도외시하면서 자유정신을 찾던 귀족들은 오히려 정치에서 떠나 철학적 담론에 탐닉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청담淸談이었다.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청담은 이렇게 해서 문제의 황초 연간, 그리고 이어서 명제의 태화, 청룡 연간에 일..

동아시아 역사 2017.01.30

신라전 기타편 - 2, 행적이 불분명한 인물들

충지忠至 잡간匝干, 성주장군城主將軍높은 금관성을 빼앗아 장군으로 임명됨: 금관성金官城 영규英規 아간阿干충지의 공을 빌어 묘향을 빼앗다가 대들보에 깔려 죽음 준필俊必영규의 아들로 역시 이유불명으로 죽음 아진阿珍 종宗이차돈의 아버지 (출처 : 1부 신라의 호국사상, 불교 / YTN 사이언스) 습보習寶 갈문왕葛文王아진의 아버지로 이차돈의 할아버지 사인舍人신라에 불교를 중흥시킨 인물 길승吉升사인의 아버지 공한功漢사인의 할아버지 걸해대왕乞解大王 대왕大王사인의 증조부 혜륭惠隆효원孝圓 법주法主김상랑金相郞 법주法主녹풍鹿風 대통大統진노眞怒 대서성大書省김의金嶷 파진찬波珍湌사인의 공을 추모해 무덤을 고치고 큰 비를 세움 아도我道염촉猒髑신라의 고승. 동경흥륜사의 이상이 동쪽 벽에 앉아서 서쪽으로 향함: 동경흥륜사東京興輪寺 사..

동아시아 역사 2017.01.30

태백일사 인물전 7 - [고려국 본기의 인물들 1]

☆ 고려국 본기高麗國本紀 1 궁예弓裔 태봉국왕泰封國王918, 후고구려, 태봉국왕을 겸임한 인물. 왕건에게 밀려나 죽음: 평양平壤, 죽주竹州, 아슬라阿瑟那, 흥주사興州寺, 부양斧壤 (군사 분계선 안쪽이라 발굴 작업을 못함) 안승安勝 보덕왕報德王, 소판蘇判보덕왕報德王으로 신라 시대의 귀족: 금마저金馬渚 모잠牟岑 대형大兄안승을 후고구려왕으로 추대한 고구려 대형大兄: 수임성水臨城 신문왕神文王안승을 보덕왕으로 삼고 김金씨 성을 내린 신라의 왕 대문大文안승의 집안 동생. 반란을 일으키다 실패하고 살해됨: 금마저金馬渚 명종明宗대진국의 명종 시기에 궁예가 태어남 (출처 : 隐居西北800载的金朝皇族) 기훤箕萱궁예가 처음으로 모신 인물: 죽주竹州 원회元會신훤申煊기훤을 떠나 궁예를 따름 양길梁吉궁예가 기훤 다음으로 모신 인..

동아시아 역사 2017.01.30

유의경의 세설신어 해제解題 - 1, 안길환, 명문당

1.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 '세설世說 8권, 송임천왕의경찬宋臨川王羲慶撰. 세설 10권, 양유효표주梁劉孝標注'라고 되어 있는데, 이 책은 처음에는 그냥 세설이라고 불리었다. 남송 왕조汪藻의 세설서록世說敍錄에 의하면 이미 양梁, 진陳 무렵까지는 세설신서世說新錄로 제목을 바꾼 것이 있으며, 당唐나라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酉陽雜俎에도 세설신서의 이야기가 보인다. (출처, 바이두 백과) 왜 신서란 글자를 보충했는지에 대하여 사고전서 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황백사의 동관여론東觀餘論을 인용하여, 한나라 유향에게도 세설이란 책이 있었는데 흩어져 없어졌으므로 그 때문에 유의경이 모은 것을 세설신서라고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지기劉知幾의 사통史通 17, 잡설雜設 제진사諸晉史 7조에 유의경의 세설신어란 책 ..

동아시아 역사 2017.01.29

신라전 기타편 - 1, 행적이 불분명한 인물들

김용행金用行 한내마韓奈麻, 내마奈麻아도화상비我道和尙碑를 지은 인물: 석한奭韓 (출처 : 도리사 불량탑시주질비) 장춘長春당나라에서 신라를 돕기 위해 파병될 것이라 말해줌: 한산주漢山州, 장의사莊義寺 파랑罷郞당나라에서 신라를 돕기 위해 파병될 것이라 말해줌 공영艸+恭永 사찬沙湌옥보고의 아버지 옥보고玉寶高지리산에서 금琴을 연구하고 30곡을 지어 속명득에게 전수함: 지리산地理山, 운상원雲上院 속명득續命得옥보고에게 노래를 전수 받음: 지리산地理山 귀금선생貴金先生속명득에게 노래를 전수 받음: 지리산地理山 윤흥允興 이찬伊湌귀금선생까지 지리산에 들어가 나오지 않자 신라의 금 연주가 끊어질까 두려워 사람을 보내 노래를 전수 받음: 남원南原 안장安長청장淸長윤흥을 따라 귀금선생을 만나곤 고생 끝에 노래를 전수 받음: 지리산..

동아시아 역사 2017.01.29

태백일사 인물전 6 - [대진국 본기의 인물들]

☆ 대진국 본기大震國本紀 걸사비우乞四比羽대조영大祚榮을 도와 당나라 장수 이해고를 격파함: 천문령天門嶺, 요수遼水, 태백산太白山, 오루하奧婁河 이진영李盡榮대조영大祚榮을 도와 당나라 장수 이해고를 격파함: 천문령天門嶺 장문휴張文休719, 당나라 자사 위준을 죽이고 등주와 동래를 취해 영토로 삼음: 등주登州, 동래東萊 위준韋俊719, 장문휴張文休에게 살해된 당나라 관리 융기隆基 왕王당나라의 왕. 대진국에 복수하려하지만 실패함 (출처 : 唐玄宗李隆基和杨贵妃的爱情故事) 연충린淵忠麟720, 말갈병과 함께 요서의 대산 남쪽에서 당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함: 대산帶山 이정기李正己 절도사節度使782, 789, 당唐나라에서 항거하며 세력을 이룸: 평로平盧 이희일李希逸 군사軍帥789, 이정기가 추대됨에 따라 쫓겨난 인물 이납..

동아시아 역사 2017.01.29

태백일사 인물전 5 - [고구려 본기의 인물들]

☆ 고구려국 본기高句麗國本紀 해모수解慕漱 단군檀君bc239, 고구려의 선조. 단군이었음: 웅심산熊心山 고진高辰 왕王해모수의 둘째 아들: 고리군藁離郡 불리지弗離支 옥저후고진의 손자: 압록강鴨綠江 위만衛滿고진, 불리지 모두 위만을 정벌한 공이 있어서 봉함을 받은 것임 (출처 : 천국의 신화) 하백河伯유화의 아버지 유화宥和불리지와 관계를 가져 고구려 시조 고주몽을 낳음: 웅심산熊心山 을파소乙巴素선인도랑과 조의를 만듬 (출처 : [삼국지12] 고구려 시공대전 - 조조 방어 작전 2) 을지문덕乙支文德612, 유명한 고구려 장군: 석다산石多山, 태원, 유주 서불徐巿처음으로 기이紀伊에 이름: 동야현, 나패, 다네시마根島, 세도나이까이瀨戶內海, 기이紀伊 서복徐福이세伊勢에 무덤이 있는 인물: 이세伊勢 온달평강상호태열제의..

동아시아 역사 2017.01.28

신라전 왕비편, 왕의 장인편 3

※ 왕명, 왕비, 성氏, 장인, 왕비 장인의 행적순 ☆ 애장1. 왕후王后 박朴805, 왕후王后로 봉해짐. 당唐에선 왕비王妃로 봉함 2. 후궁後宮 김金 (아버지 김주벽金宙碧)802년에 혼인 ☆ 헌덕1. ??? (아버지 충공忠恭)822, 태자비로 삼았으나 태자가 일찍 사망함 2. 귀승부인貴勝夫人 (아버지 예영禮英)809, 당唐에서 왕비王妃로 봉함 3. 황아왕후皇娥王后 ☆ 흥덕정목왕후定穆王后 김金 (아버지 소성왕昭聖王)826, 장화부인章和夫人. 826년에 사망하고 왕후王后로 봉해짐827, 당唐에서 왕비王妃로 책봉함 (출처 : 신라 42대 흥덕왕릉(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 희강문목부인文穆夫人 ☆ 민애1. 윤용왕후允容王后 김金2. ??? (아버지 영공永公, 각간角干) ☆ 신무1. 정계부인貞繼夫人 (아버지..

동아시아 역사 2017.01.28

고려 인물전 현종 시대 3 [양대춘, 이자림, 정신용, 김승위 등]

송균언宋均彦 통사사인通事舍人, 도병마녹사都兵馬錄使정열丁悅 별장別將, 친종낭장親從郎將지채문智蔡文이 거란군의 동태를 파악하라는 명을 내려 시행함. 거란군이 물러 난것을 확인하자 왕이 벼슬을 내림. 김숙흥金叔興 별장別將, 장군將軍보량保良 중랑장中郞將거란군을 공격해 1만 여명의 목을 벰: 귀주龜州, 변성邊城 정성鄭成 진사鎭使: 압록강鴨綠江을 건너서 퇴각하는 거란군을 공격해 큰 피해를 입힘 안홍점安鴻漸 감찰어사監察御史거란을 무찔렀으니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진언함 유언경劉彦卿거란에 항복해서 남아있는 가족들이 모두 귀양을 감 홍씨洪氏 은율군군殷栗郡君양규楊規의 아내. 남편의 공적 덕택에 신분이 높아짐 대춘帶春 교서랑校書郞양규楊規의 아들. 1011년에 교서랑校書郞이 됨 신영한申寧漢 대장군大將軍최원崔元 별장別將태사승太史丞..

동아시아 역사 2017.01.28

태백일사 인물전 4 - [소도경전본훈, 천부경, 삼일신고 속 인물들]

☆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 발귀리發貴理 선인仙人학문과 도道를 깨우치고 명망이 높았음: 저渚, 풍산風山 복희伏羲 우사雨師한역桓易을 만듬 자부선생발귀리의 후손으로 칠정운천도七政運天圖를 만드는 등 업적을 남김 창기소蒼其蘇자부선생의 칠정운천도七政運天圖로 오행치수를 밝힘 (출처 : 360doc.com)(아마도 이유립이 이런 걸 베끼지 않았을까?) 사우姒禹부루와 자허선인을 만나 많은걸 배움: 회계산會稽山 자허선인紫虛仙人사우가 부루와 만나길 원하자 이를 실현시켜줌 부루扶婁 사자使者황제중경黃帝中經을 사우에게 건네줌: 창수蒼水 (출처 : 黄帝内经 素问遗篇) 혁덕赫德 신지神誌한웅대성존의 명으로 녹도문鹿圖文을 만듬 최치원崔致遠혁덕이 남긴 문자로 비석을 새김 ☆ 천부경天符經 자부선생당시의 대 성인聖人: 삼청궁三淸宮, 청구국靑..

동아시아 역사 2017.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