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472

맞춤법검사기에 역사 속 인물을 넣어보자 [위진남북조 2편]

가남풍의 사촌 오빠 배위 - 가남풍의 사촌 오빠 배 위: 배위를 배_위로 고칩니다. 뭔가 미묘해요. 사융론을 올린 강통 - 사융론을 올린 깡통: 강통은 깡통이 아니야!!!! 똑똑하다고!!!! 황실의 조왕 사마륜 - 황실의 좋아 사마륜: 조왕좋왕조아좋왕 조왕 좋아~ 사마경, 성도왕 사마영, 사마옹 - 사마경, 성도왕 사봐요, 사마옹: 하긴, 그 시대는 돈 주고 관직을 사기도 했죠. 성도왕도 살 수 있었을까 "화정華亭의 학鶴 울음소리를 듣고 싶어도 다시 들을 수 없게 되었구나"- "화정華亭의 학학학학 울음소리를 듣고 싶어도 다시 들을 수 없게 되었구나": .... 뭔가..... 음.... 학학학... 음.... 도독유주제군사 왕준이 독립 세력을 구성 - 도독유주제군사 왕눈이 독립 세력을 구성: 왕눈이는 정말..

동아시아 역사 2017.01.10

신라전 관직편7 - 838~927년 [김헌창, 김옹, 김은거, 최치원, 윤분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김양金陽838, 평동장군平東將軍, 민애왕閔哀王을 내쫓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자칭함 (출처 : 신라 김양 묘와 김인문 묘 (경북 경주시 서악동)) 장궁복張弓福839, 감의군사感義軍使, 신무왕神武王을 즉위시키는데에 공로가 있어서 제수됨839, 진해장군鎭海將軍, 신무왕神武王을 즉위시키는데에 공로가 있어서 제수됨 예징禮徵840, 상대등上大等 김의종金義琮840, 시중侍中843, 시중侍中, 병이 있기에 시중侍中을 사직함 양순良順840, 이찬伊湌843, 시중侍中844, 시중侍中, 시중侍中을 사직함 (출처 : 중국에서 더 유명한 ‘해상왕 장보고’) 김운경金雲卿841, 치주장사淄州長史, 당唐에서 귀국하며 무종武宗에게 제수 받음 김여金茹844, 시중侍中 계홍啓弘844, 진두鎭頭, 혈구진穴口..

동아시아 역사 2017.01.09

신라전 관직편6 - 760~838년 [김헌창, 김옹, 김은거, 윤분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김옹金邕 760, 시중侍中 763, 시중직을 사직함 만종萬宗 764, 상대등上大等 양상良相 764, 시중侍中 신유神猷 768, 상대등上大等 김은거金隱居 768, 시중侍中 770, 시중직을 사직함 정문正門 770, 시중侍中 김표석金標石 771, 위위원외소경衛尉員外少卿, 당唐에 신년하례를 하자 위위원외소경衛尉員外少卿을 제수함 김순金順 775, 시중侍中 주원周元 777, 시중侍中 의공義恭 780, 시중侍中 체신體信 783, 군주軍主, 대곡진大谷鎭의 군주軍主가 됨 김인겸金仁謙 785, 태자太子가 됨 충렴忠廉 785, 상대등上大等 제공悌恭 785, 시중侍中, 시중이 되지만 얼마되지 않아 퇴직함 세강世强 785, 시중侍中 792, 상대등上大等 무오武烏 786, 현령縣令, 병법兵法 15권,..

동아시아 역사 2017.01.09

신라전 관직편5 - 669~758년 [김달간달, 박유, 김대문, 김정종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신혜법사信惠法師669, 정관대서성政官大書省 예원禮元671, 시중中侍 진왕眞王671, 도독都督, 소부리주所夫里州가 만들어지자 그곳의 도독都督이 됨 당천當千671, 사찬沙湌, 당唐나라 수송선 70여척을 격파한 공로로 승진함 강수强首673, 사찬沙湌, 사찬沙湌으로 임명하고, 해마다 벼 2백 석을 주기로 함 의안법사義安法師674, 대서성大書省 춘장春長678, 시중中侍679, 시중中侍 원훈元訓702, 시중中侍703, 시중中侍직을 사직함 원문元文703, 시중中侍 김대문金大問704, 도독都督, 한산주漢山州의 도독都督이 됨 신정信眞705, 시중中侍706, 시중中侍, 병으로 시중中侍를 사직함 인품仁品706, 상대등上大等 문량文良706, 시중中侍 위문魏文712, 시중中侍713, 시중中侍, ..

동아시아 역사 2017.01.09

삼국시대 현명했던 여인 신헌영 [신비의 딸이자 양호의 고모]

신창辛敞은 자가 태옹泰雍이고 관직은 위위衛尉에 이르렀다. 신비辛毗의 딸 신헌영辛憲英은 태상太常인 태산泰山 사람 양탐羊耽에게 시집갔는데, 외손자 하후담夏侯湛이 그녀의 전傳을 지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헌영은 총명하고 뛰어난 통찰력을 지녔다." 예전에 문제文帝(조비)가 진사왕陳思王(조식)과 태자 자리를 놓고 다투었는데, 나중에 문제가 태자로 책봉되자 신비의 목을 끌어안고 기뻐하며 말했다. "신군辛君(신비)은 내가 얼마나 기쁜지 아시오?" 신비가 그 일을 신헌영에게 일러주었더니, 신헌영이 탄식하며 말했다. "태자는 군왕을 대신해 종묘와 사직을 주관하는 사람입니다. 군왕을 대신하면 근심하지 않을 수가 없고, 나랏일을 주관하면 두려워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마땅히 근심해야 하는데도 기뻐했으니 어떻게 오래 갈 ..

동아시아 역사 2017.01.09

신라전 관직편4-661~668년 [삼국통일, 문훈, 진복, 용문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천품天品 661 귀당총관貴幢摠管 668 귀당총관貴幢摠管 충상忠常 661 상주총관上州摠管 진흠眞欽 중신衆臣 자간自簡 661 하주총관下州摠管 군관軍官 661 남천주총관南川州摠管 664 한산주도독漢山州都督 668 한성주행군총관漢城州行軍摠管 680 상대등上大等 수세藪世 고순高純 661 남천주총관南川州摠管 술실述實 달관達官 661 수약주총관首若州摠管 김문영金文穎 661 수약주총관首若州摠管 668 비열성주행군총관卑列城州行軍摠管 694 상대등上大等 문훈文訓 661 하서주총관河西州摠管 662 중시中侍 665 중시中侍 - 중시中侍였으나 은퇴함 668 귀당총관貴幢摠管 진순眞純 661 하서주총관河西州摠管 661 경정총관京停摠管 진복眞福 661 서당총관誓幢摠管 665 중시中侍 - 문훈文訓의 후임으로..

동아시아 역사 2017.01.09

신라전 관직편3 - 651~661년 [나당연합군, 김지경, 김인문, 흠돌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죽지竹旨651 집사중시執事中侍 - 집사중시執事中侍가 되어 기밀 사무를 관장함661 귀당총관貴幢摠管668 경정총관京停摠管 천효天曉652 좌리방부령左理方府令 금강金剛655 상대등上大等 문충文忠655 중시中侍658 이찬伊湌 - 문왕文王에게 중시中侍직을 넘김661 상주장군上州將軍 - 백제百濟잔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668 대당총관大幢摠管 노자老且655 해찬海湌 인태仁泰655 각찬角湌668 비열도총관卑列道摠管 지경智鏡655 이찬伊湌667 장군將軍 - 고구려高句麗 공격을 위해 당唐 고종이 임명함667 파진찬波珍湌 - 당唐 고종의 명이 전달되자 문무왕이 임명함668 중시中侍668 대당총관大幢摠管670 중시中侍 - 중시中侍였으나 은퇴함 개원愷元655 이찬伊湌667 장군將軍- 고..

동아시아 역사 2017.01.08

신라전 관직편2 - 311~661년 [김유신, 이사부, 거칠부, 비담, 숙위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급리急利311, 아찬阿湌, 중요한 정무를 맡음311,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313, 이찬伊湌 강세康世345, 이벌찬伊伐湌 미사품未斯品403, 서불한舒弗邯, 군사軍國와 정치事에 대한 일을 맡음 국대부인國大夫人426, 미해美海를 구해내고 사망한 제상堤上의 부인. 그 공로로 인하여 부인夫人이 됨 미사흔未斯欣433, 서불한舒弗邯, 사망하여 서불한舒弗邯으로 추증됨 벌지伐知473, 좌장군左將軍 덕지德智473, 우장군右將軍 오함烏含484, 이벌찬伊伐湌 실죽實竹486, 장군將軍 (출처 : 평양천도 이후 와해되는 진한지역의 고구려 군현) 내숙乃宿486, 이벌찬伊伐湌 이사부異斯夫505, 군주軍主, 실직주悉直州가 만들어지자 그곳의 군주軍主가 됨541, 병부령, 兵部令중앙과 지방의 군대에 관한 업..

동아시아 역사 2017.01.08

신라전 관직편1 - 58~297년 [호공, 김알지, 구도, 장흔, 말구 등]

※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호공瓠公58 대보大輔 김알지金閼智불명 대보大輔 순정順貞67 이벌찬伊伐湌 길문吉門77 파진찬波珍湌 - 가야加耶와 황산진黃山津에서 싸워 승리해 승진함 명선明宣84 이찬伊湌 윤랑允良84 파진찬波珍湌93 이찬伊湌 길원吉元85 아찬阿湌 계기啓其93 파진찬波珍湌 창영昌永113 이찬伊湌 옥권玉權113 파진찬波珍湌129 이찬伊湌 - 이찬伊湌 창영昌永이 사망하자 후임으로 임명되어 정사에 참여함 신권申權113일길찬一吉湌 순선順宣113급찬級湌 익종翌宗12 1이찬伊湌 흔련昕連121 파진찬波珍湌 임권林權121 아찬河湌 웅선雄宣136 이찬伊湌136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 근종近宗136 일길찬一吉湌 박아도朴阿道147 갈문왕葛文王 득훈得訓148 사찬沙湌 선충宣忠148 내마奈麻 대선大宣151 이찬伊湌151..

동아시아 역사 2017.01.08

환단고기 북부여기 속 인물 일람

☆ 북부여기 상北夫餘紀 上 - 해모수 산지객륭山只喀隆 추장酋 bc229, 영주寧州를 습격해 목원 등을 죽이고 돌아감 : 북막北漠, 영주寧州 목원등穆遠登 순사巡使 bc229, 산지객륭에게 살해됨 기비箕丕 번조선왕番朝鮮王 bc221, 기준의 아버지 기준箕準 번조선왕番朝鮮王 bc221, bc195, 기비의 아들로 아버지의 직위를 물려받음 : 수유須臾 (출처 : 【引用】沈阳雕塑) 진개秦開 장수將 bc221, 연燕나라 사람으로 서쪽 변방을 공격함 : 만번한滿番汗 여홍성黎洪星 bc218, 진시황제를 박랑사에서 저격했지만 부거副車만 파괴함 : 창해滄海, 박랑사博浪沙 장량張良 bc218, 진시황제를 박랑사에서 저격했지만 부거副車만 파괴함 : 박랑사博浪沙 (출처 : 张良刺秦) 진승陳勝 bc209, 진秦에서 반란을 일으키..

동아시아 역사 2017.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