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호공瓠公
58 대보大輔
김알지金閼智
불명 대보大輔
순정順貞
67 이벌찬伊伐湌
길문吉門
77 파진찬波珍湌 - 가야加耶와 황산진黃山津에서 싸워 승리해 승진함
명선明宣
84 이찬伊湌
윤랑允良
84 파진찬波珍湌
93 이찬伊湌
김씨 시조 김알지
길원吉元
85 아찬阿湌
계기啓其
93 파진찬波珍湌
창영昌永
113 이찬伊湌
옥권玉權
113 파진찬波珍湌
129 이찬伊湌 - 이찬伊湌 창영昌永이 사망하자 후임으로 임명되어 정사에 참여함
신권申權
113일길찬一吉湌
순선順宣
113급찬級湌
익종翌宗
12 1이찬伊湌
흔련昕連
121 파진찬波珍湌
임권林權
121 아찬河湌
웅선雄宣
136 이찬伊湌
136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
근종近宗
136 일길찬一吉湌
박아도朴阿道
147 갈문왕葛文王
득훈得訓
148 사찬沙湌
선충宣忠
148 내마奈麻
소문국 어느 왕의 릉
대선大宣
151 이찬伊湌
151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 - 이찬伊湌 웅선雄宣이 사망하자 후임으로 임명되어 정사에 참여함
계원繼元
154이찬伊湌군무軍國와 정사政事를 담당함
흥선興宣
155 일길찬一吉湌
168 이찬伊湌 - 이찬伊湌 계원繼元이 사망하자 후임으로 임명되어 정사에 참여함
구도仇道
172 파진찬波珍湌
185 군주軍主 -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할때 얻은 관직
190 성주城主 - 백제百濟와 와산蛙山에서 싸우다 패배해 강등됨
구수혜仇須兮
172일길찬一吉湌
185군주軍主 -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할때 얻은 관직
설지薛支
190 군주軍主 - 구도仇道가 강등되자 후임으로 좌군주左軍主가 됨
국량國良
192 아찬阿湌
술명述明
192 일길찬一吉湌
진충眞忠
205 일벌찬一伐湌 - 일벌찬一伐湌에 임명되어 국정國政에 참여함
이음利音
207 이벌찬伊伐湌
훤견萱堅
211 이찬伊湌
윤종允宗
211 일길찬一吉湌
충훤忠萱
220 이벌찬伊伐湌 - 이벌찬伊伐湌 이음利音이 사망하자 후임으로 임명됨
220 병마사兵馬事
222 진주鎭主 - 백제百濟와 웅곡熊谷에서 싸우다 패배해 강등됨
연진連珍
222 이벌찬伊伐湌 - 이벌찬伊伐湌 충훤忠萱이 강등되어 후임으로 임명됨
222 병마사兵馬事
강훤康萱
227 이찬伊湌
연충連忠
230 이찬伊湌 - 군무軍國와 정사政事를 담당함
우로于老
231 대장군大將軍 - 감문국甘文國을 토벌할 때 얻은 관직
244 서불한舒弗邯
244 병마사兵馬事
전기 가야연맹의 지역
골정骨正
247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
장훤長萱
248 서불한舒弗邯 - 서불한舒弗邯이 되어 정사國政에 참여함
양부良夫
249 이찬伊湌
263 서불한舒弗邯
263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
부도夫道
251 아찬阿湌 - 한기부漢祇部 사람인데 집이 가난하였으나 아첨하는 일이 없고 글씨와 산수에 능하여 명성이 높았음. 왕침해이 아찬으로 임명하여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 업무를 맡김
극종克宗
261 성주城主 - 달벌성達伐城이 완성되자 성주城主로 임명됨
구도仇道
263 갈문왕葛文王
직선直宣
266 일길찬一吉湌 - 백제百濟와 봉산성烽山城에서 싸워 이겨서 승진함
홍권弘權
285 서불한舒弗邯 - 서불한舒弗邯이 되어 중요한 정무를 맡음
양질良質
281
광겸光謙
281
말구末仇
291 이벌찬 - 伊伐湌충직하고 지략이 많았으며 왕이 자주 찾아가서 정사의 요령을 물었음
지량智良
297 이찬伊湌
장흔長昕
297 일길찬一吉湌
299 이찬伊湌
299 내외병마사內外兵馬事
순선順宣
297사찬沙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