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472

찬탈한 환현을 죽이려 했던 사촌 환수 [어머니 유부인이 막아내다]

환현桓玄이 제위를 찬탈하려 했을 때, 환수桓修(환현의 사촌 동생)가 환현이 자기 어머니 처소에 있는 것을 틈타 그를 습격하려 했다. 유부인庾夫人(환수의 어머니)이 말했다. "너희는 사이좋게 지내면서 나의 여생을 편히 보낼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한다. 나는 그 환현을 친자식처럼 길렀으니, 이런 일을 자행하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하겠다." (출처 : 桓玄) 유효표의 주해. 환씨보桓氏譜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환충桓沖(환수의 아버지, 환온의 막냇동생)은 나중에 영천潁川 유멸庾蔑의 딸을 부인으로 맞았는데, 그녀의 자는 요姚이다.' 진안제기晉安帝紀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다. '환수는 젊었을 때 환현에게 업신여김을 받았으며 환현은 말할 때마다 항상 그를 멸시했다. 그래서 환수는 깊이 원한을 품고 은밀히 환현을 죽이..

동아시아 역사 2017.01.12

신라전 골품편 1 - 혁거세에서 지증왕 시대까지

※ 왕명, 이름, 직위, 등장 연도, 행적, 관련 지명순 ☆ 혁거세 천일창天日槍 왕자王子BC27, 신라의 왕자. 천황을 흠모해 왜로 귀화함: 파마국播磨國, 속읍宍粟邑, 담로도淡路島, 출천읍出淺邑, 토도하菟道河, 근강국近江國, 오명읍吾名邑, 근강近江, 약협국若狹國, 단마국但馬國, 경촌鏡村, 출도出島, 출석出石 지고知古 왕자王子BC27, 신라의 왕자. 형인 천일창이 왜로 귀화하자 동생이지만 왕이 됨 ☆ 남해☆ 유리 ☆ 탈해 김알지金閼智 대보大輔65,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금성金城, 시림始林 (출처 : 대보공 김알지 탄석/ 계림비각) ☆ 파사☆ 지마☆ 일성☆ 아달라 ☆ 벌휴 골정骨正 태자太子일찍 죽어 왕이 되지 못함 ☆ 나해 내음㮈音 태자太子212, 장군 일벌과 신라를 침공하는 8국을 방어함 (출처 : 포..

동아시아 역사 2017.01.12

이청조란 송나라 여류 문인을 평가하는 글

이청조에 대하여 - 중국 제일의 여류 문인 이청조(李淸照) (전순동, 충복대 교수) [클릭] 문학과 예술을 즐기던 집안에서 태어난 송宋(조광윤의 송) 나라 시기의 여류 문인입니다. 아버지 이격비李格非는 제남济南 역하历下 태생으로 진사进士 출신의 소식苏轼(소동파)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며, 관직은 예부礼部의 원외랑員外郎까지 오릅니다. 1. 어느 비평문에서, 개원開元(당 현종의 연호), 천보天寶 연간에 이팔랑李八郞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노래를 잘 부르기로 천하에 따라갈 자가 없었다. 당시 새로 진사에 급제한 사람들이 곡강曲江에 연회를 마련했는데, 진사에 급제한 한 명사名士가 이팔랑을 따로 부르더니 그에게 옷을 갈아입게 하고 이름을 숨기게 했다. 이팔랑은 매우 비루한 옷을 입고 의기소침한 표정으로 그와 함께 연..

동아시아 역사 2017.01.11

고려사절요 인물전 태조 왕건 시대 - 3 [박술희, 왕순식, 홍술 등]

애선哀宣 대상大相홍유洪儒와 함께 예산현에 머무름. 후백제와 전투를 치루다 전사함: 오산성烏山城, 예산현禮山縣, 조물군曹物郡 추언규酋彦規문사文士였지만 고려에 의탁함: 오吳, 월국越國 윤웅閏雄 장군將軍아들 일강一康을 고려에 보내 인질로 삼게 함: 강주康州 일강一康 아찬阿粲고려에 인질로 와선 행훈行訓의 딸과 혼인했으며 아찬阿粲을 받음 행훈行訓 경卿왕명으로 딸을 일강一康에게 시집 보냄 춘양春讓 낭중郎中강주康州를 위문함: 강주康州 고자라高子羅 추장酋長 흑수추장黑水酋長고려에 의탁함 아어간阿於間흑수黑水사람. 고려에 의탁함 찬행撰行 낭중郎中변방을 위무하며 안정 시킴 이언利言 승僧태조가 스승으로 받아들임: 대흥사大興寺, 오관산五冠山 박술희朴述熙 대광大匡, 위사衛士혜종이 정윤으로 받아들여지는데 도움을 줌. 통일전쟁에 참여..

동아시아 역사 2017.01.11

고려사절요 인물전 태조 왕건 시대 - 2 [이흔암, 유금필, 왕식렴 등]

환씨桓氏 이흔암伊盺巖의 아내 말 실수를 해버려서 남편이 죽음 순필荀弼 광평시랑廣評侍郞 병으로 인해 면직됨 열평列評 병부경兵部卿, 광평시랑廣評侍郞 면직된 순필荀弼을 대신해 광평시랑廣評侍郞에 임명됨 견금堅金 영군장군領軍將軍 연익連翌 부장副將 흥연興鉉 왕을 알현하고 상을 받음 : 청주靑州 능달能達 문식文植 명길明吉 청주靑州에서 반란이 많음을 걱정해 그곳의 동태 파악을 위해 파견됨 관준寬駿 김근겸金勤謙 문식과 명길이 능달의 마음을 알 수 없다며 얘기를 나눔 김언규金言規 능달이 관준, 근겸, 언규에게 무고한 누명을 씌우려 했음 유금필庾黔弼 마군장군馬軍將軍, 대광大匡,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 도통대장군都統大將軍, 대상大相 태조 왕건 시절의 장수이지만 고려를 통틀어 최고의 장수라 할 수 있음 : ..

동아시아 역사 2017.01.11

고려사절요 인물전 태조 왕건 시대 - 1 [도선, 복지겸, 환선길 등]

☆ 태조 도선道詵 왕건이 크게 될 인물임을 예언함 : 송악산松嶽山 (출처 : 고려시대는 왜 불교 유물이 많을까?) 종회 왕건을 도우라는 궁예의 명을 따라 견훤을 격파함 : 알찬 광주, 진도군, 고이도성, 덕진포, 목포, 덕진포 김언, 알찬 왕건을 도우라는 궁예의 명을 따라 견훤을 격파함 : 광주, 진도군, 고이도성, 덕진포, 목포, 덕진포 능창 후백제의 장군. 왕건의 계책에 속아 목숨을 잃음 : 압해현壓海縣, 갈초도 최응崔凝 장주, 한림翰林, 지원봉성사知元鳳省事, 광평낭중廣評郎中, 내봉경內奉卿, 광평시랑廣評侍郞, 원보元甫, 태자태보太子太保 억울하게 누명을 쓴 왕건을 궁예로 부터 구함 : 황주黃州, 토산土山 왕창근 예언이 적힌 거울을 습득함 송함홍 백탁 허원 거울의 예언을 해석한 뒤 거짓내용을 궁예에게 말..

동아시아 역사 2017.01.11

행적이 불분명한 발해 인물들 [발해고 인물전]

고남용高南容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대접을 받고 일본 사신과 발해로 오던 중, 일본 사신이 발해의 국서가 관례를 따르지 않는다 하여 국서를 버리고 되돌아감 : 홍려관鴻臚館, 조집원朝集院 고다불高多佛 수령首領 고남용과 함께 일본에 파견되었지만, 일행을 이탈하여 일본에 머물면서 발해말을 가르침. 왕효렴王孝廉 대사大使, 종3위從三位 고경수高景秀 부사副使, 정4위하正四位下 고영선高莫善 판관判官, 정5위하正五位下 왕승기王昇基 판관判官, 정5위하正五位下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직위를 얻어 돌아옴 왕문구王文矩일본에서 격구경기를 천황 앞에서 선보이고 상을 받음. : 풍락전豐樂殿 (출처 : 唐代的竞技体育与帝王明星(图)) ????? 부여성을 지키던 장수. ????? 우대상右大相 3만의 병사로 요나라 병력을 방어하다 패..

동아시아 역사 2017.01.10

단군세기 속 인물 일람, 위나에서 고열가까지 [단군 조선의 인물들]

☆ 위나 ☆ 여을 ☆ 동엄 ☆ 구모소 지리숙支離叔 bc1382, 주천력周天曆과 팔괘상중론八卦相重論을 지어 바침 ☆ 고홀 공홀工忽 공공共工 bc1341, 구한의 지도를 만들어 바침 ☆ 소태 고등高登 욕살褥薩 bc1289, 몰래 군대를 귀방으로 몰아 귀방을 멸망시키고 강한 세력을 이룸. 소태가 두막루豆幕婁로 봉함 : 개사원蓋斯原, 귀방鬼方 서우여徐于餘 소태가 서우여에게 단군위를 물려 주려 했지만 색불루가 나라를 세워 압박하자 서인庶人이 됨 : 살수薩水 ☆ 색불루 육우陸右 신지臣智 bc1280, 천도를 거론하지만 색불루가 거절함 여파달黎巴達 bc1266, 빈邠과 기岐에 살며 단군의 교화를 퍼뜨림 : 빈邠, 기岐 신독申督 장수將 bc1250, bc1237, 병력이 많음을 내세워 반란을 일으킴 ☆ 아홀 고불가固弗..

동아시아 역사 2017.01.10

단군세기 속 인물 일람, 왕검에서 고불까지 [조선의 인물들]

☆ 왕검 웅씨의 왕녀熊氏王女왕검의 어머니 팽우彭虞 풍백風伯bc2333, bc2284 왕검의 신하로 땅을 개척하라는 명을 받음: 우수주牛首州 (출처 : 〈단군신화〉의 영웅들은 가고, 〈쥐 변신 설화〉의 간교한 쥐만 득실대는 시대) 성조成造bc2333, 왕검의 신하로 궁실을 지으라는 명을 받음 고시高矢bc2333, 왕검의 신하로 농사를 장려하라는 명을 받음 신지臣智bc2333, 왕검의 신하로 글자를 만들라는 명을 받음 기성奇省bc2333, 왕검의 신하로 의약을 만들라는 명을 받음 나을那乙bc2333, 왕검의 신하로 호적을 관리하라는 명을 받음 희羲bc2333, 왕검의 신하로 점치는 일을 관장하라는 명을 받음 우尤bc2333, 왕검의 신하로 병사를 관장하라는 명을 받음 배달신倍達臣 운사雲師bc2283, 삼랑성..

동아시아 역사 2017.01.10

고소와 방통의 일화, 무명이 아니었던 방통

고소顧劭는 일찍이 방사원龐士元(방통, 龐統)과 밤새도록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방사원에게 물었다. "그대는 사람을 보는 눈이 있다는 평판이던데 나와 그대를 비교한다면 어느 쪽이 낫다고 생각하오?" "세속世俗을 교화시키는 때의 움직임에 따라 처신하는 것이라면 내가 그대에 따르지 못하오. (1) 그러나 왕자王者, 패자覇者의 유책遺策을 논하고 화복禍福이 생겨나는 요소를 꿰뚫어보는 점에서는 내가 다소 나을 것이외다." 고소도 그 이야기를 이해했다. (2) (출처 : 顾劭) 유효표의 주. (1) 오지吳志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고소는 인물 평하기를 좋아했는데 그 대상은 주군州郡의 현인으로부터 천하의 명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길을 오가다가 사람을 만나면 어떤 사람은 평을 해주고 가기도 하고 혹은 친구 사이가 되었..

동아시아 역사 201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