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나
☆ 여을
☆ 동엄
☆ 구모소
지리숙支離叔
bc1382, 주천력周天曆과 팔괘상중론八卦相重論을 지어 바침
중국의 선천팔괘도
☆ 고홀
공홀工忽 공공共工
bc1341, 구한의 지도를 만들어 바침
☆ 소태
고등高登 욕살褥薩
bc1289, 몰래 군대를 귀방으로 몰아 귀방을 멸망시키고 강한 세력을 이룸. 소태가 두막루豆幕婁로 봉함
: 개사원蓋斯原, 귀방鬼方
서우여徐于餘
소태가 서우여에게 단군위를 물려 주려 했지만 색불루가 나라를 세워 압박하자 서인庶人이 됨
: 살수薩水
☆ 색불루
육우陸右 신지臣智
bc1280, 천도를 거론하지만 색불루가 거절함
여파달黎巴達
bc1266, 빈邠과 기岐에 살며 단군의 교화를 퍼뜨림
: 빈邠, 기岐
빈邠은 지금의 섬서성
신독申督 장수將
bc1250, bc1237, 병력이 많음을 내세워 반란을 일으킴
☆ 아홀
고불가固弗加 낙랑홀樂浪忽
bc1237, 아홀의 숙부. 낙랑홀을 다스림
웅갈손熊乫孫
bc1237, 남국藍國왕과 은殷나라 군대를 격파함
금달今達 남국왕藍國王
bc1236, 아홀의 명을 따라 은殷나라를 공격해 크게 성공함
: 주개周愷, 회대淮岱, 엄淹, 서徐, 회淮
상나라 시기 지도
☆ 연나
고불가固弗加
bc1161, 연나의 숙부. 섭정을 함
☆ 솔나
기자箕子
bc1114, 중국 서부로 가서 세력을 이룸. 인사 받는 일도 사절함
: 서화西華
기자조선의 영역
홍운성洪雲性 삼랑三郞
bc1104, 아첨하는 신하와 바른 신하에 대해 진언함
: 상소도上蘇塗
☆ 추로
☆ 두밀
☆ 해모
☆ 마휴
☆ 내휴
☆ 등홀
☆ 추밀
문고們古 추장酋長
bc847, 공물을 바침
: 선비산鮮卑山
이문기李文起 대부大夫
bc838, 초楚나라 사람으로 벼슬을 얻음
☆ 감물
☆ 오루문
☆ 사벌
언파불합彦波弗哈 장군將
bc723, 웅습을 평정한 장군
: 웅습熊襲
조을租乙
bc707, 연燕을 통과하고 제齊나라 군대와 싸워 승리함
: 임치臨淄
춘추시대 지도
☆ 매륵
배반명裴幋命 협야후陜野侯
bc667, 바다의 도적을 모조리 소탕함
☆ 마물
☆ 다물
☆ 두홀
☆ 달음
☆ 음차
☆ 을우지
☆ 물리
우화충于和冲
bc426, bc425, 반란을 일으켜 물리가 다른 곳으로 도망가 죽게함. 구물에게 죽음
: 융안隆安
☆ 구물
☆ 여루
묘장춘苗長春 수장守將
bc380, 연燕나라 사람이 변방을 약탈하자 이를 물리침
배도倍道
bc365, 연燕나라 사람으로 서쪽 변방을 공격하지만 패퇴함
: 요서遼西, 운장雲障
연나라의 기자조선 공격
우문언于文言 상장上將
bc365, bc364, 배도의 공격을 막아냄
: 오도하五道河, 연운도連雲島
액니거길厄尼車吉 추장酋
bc350, 말 200필을 바치며 연燕나라를 칠것을 청함
: 북막北漠, 상곡上谷
신불사申不私
액니거길을 도와 연燕나라를 공격해 성공함
: 상곡上谷
☆ 보을
해인解仁 번조선왕番朝鮮王
bc341, 연燕나라의 자객에게 살해됨
기후箕詡 읍차邑借
bc323, 병력을 이끌고 입궁하여 자칭 번조선왕이 됨. 보을이 허락함
이사尼舍 추장酋
bc298, 음악을 바치고 큰 상을 받음
: 북막北漠, 상곡上谷
한개韓介
bc296, 군대를 일으켜 스스로 왕이 되려 했지만 고열가가 격퇴함
기자의 초상
☆ 고열가
아리당부阿里當夫 추장酋
bc248, 연燕나라 정벌을 청하였으나 거절당함. 이후로 공물을 바치지 않음
: 북막北漠, 상곡上谷
해모수解慕漱
bc239, 웅심산에서 군대를 일으킨 고리국藁離國 사람의 후손
: 웅심산熊心山
대해모수大解慕漱
백악산을 점령하고 천왕랑天王郞이라 칭하며 왕이 됨
: 백악산白岳山
기비箕丕 수유후須臾侯, 번조선왕番朝鮮王
대해모수의 권유로 번조선왕이 됨
ps. 항상 드는 생각인데, 환단고기에 손을 댔던 사람들의 네이밍 노가다에 박수를 쳐주고 싶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