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연도, 직위, 비고순
죽지竹旨
651 집사중시執事中侍 - 집사중시執事中侍가 되어 기밀 사무를 관장함
661 귀당총관貴幢摠管
668 경정총관京停摠管
천효天曉
652 좌리방부령左理方府令
금강金剛
655 상대등上大等
문충文忠
655 중시中侍
658 이찬伊湌 - 문왕文王에게 중시中侍직을 넘김
661 상주장군上州將軍 - 백제百濟잔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668 대당총관大幢摠管
노자老且
655 해찬海湌
나당연합군의 진격로
인태仁泰
655 각찬角湌
668 비열도총관卑列道摠管
지경智鏡
655 이찬伊湌
667 장군將軍 - 고구려高句麗 공격을 위해 당唐 고종이 임명함
667 파진찬波珍湌 - 당唐 고종의 명이 전달되자 문무왕이 임명함
668 중시中侍
668 대당총관大幢摠管
670 중시中侍 - 중시中侍였으나 은퇴함
백제 말기 신라와 전쟁
개원愷元
655 이찬伊湌
667 장군將軍- 고구려高句麗 공격을 위해 당唐 고종이 임명함
667 대아찬大阿湌 - 당唐 고종의 명이 전달되자 문무왕이 임명함
668 대당총관大幢摠管
695 상대등上大等
김흠운金歆運
655 일길찬一吉湌 - 백제百濟의 기습을 받았으나 물러서지 않고 용감히 싸우고 전사해 추증됨
예파穢破
655 일길찬一吉湌 - 백제百濟의 기습을 받았으나 물러서지 않고 용감히 싸우고 전사해 추증됨
적득狄得
655 대나마大奈麻 - 백제百濟의 기습을 받았으나 물러서지 않고 용감히 싸우고 전사해 추증됨
보용나寶用那
655 대나마大奈麻 - 백제百濟의 기습을 받았으나 물러서지 않고 용감히 싸우고 전사해 추증됨
평양성 속 김인문
김인문金仁問
651 좌령군위장군左領軍衛將軍 - 당唐에서 제수함
653 압독주총관押督州摠管
656 군주軍主 - 장산성獐山城의 축조 공사를 감독하기 위해 군주軍主직을 맡음
660 부대총관副大摠管 - 백제百濟 공격을 위해 임명됨
661 대당장군大幢將軍
666 우효위대장군右驍衛大將軍
668 대각간大角干
674 계림주대도독개부의동삼사雞林州大都督開府儀同三司 - 당唐에서 문무왕文武王의 관직을 박탈하고 인문으로 대신함
679 진군대장군鎭軍大將軍 - 당唐에서 제수함
679 행우무위위대장군行右武威衛大將軍 - 당唐에서 제수함
690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 당唐에서 제수함
690 상주국임해군개국공上柱國臨海郡開國公 - 당唐에서 제수함
690 좌우림장군左羽林將軍 - 당唐에서 제수함
694 태대각간太大角干 - 이해에 사망하자 효소왕孝昭王이 추증함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로
(출처 : 군사적 관점에서 본 백제멸망사 제-4-3탄. 나당연합군의 기만전술 - 덕물도 회담.)
관창官昌
660 급찬級湌 - 백제百濟와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추증됨
품일品日
661 대당장군大幢將軍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661 상주총관上州摠管, 장군將軍 - 백제百濟 잔적을 공격하기 위해 임명됨
668 귀당총관貴幢摠管
의복義服
661 하주장군下州將軍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661 상주총관上州摠管
668 서당총관誓幢摠管
백제 부흥군의 주요 활동지
무훌武欻
661 남천대감南川大監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의천旭川
661 남천대감南川大監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문품文品
661 서당장군誓幢將軍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의광義光
661 낭당장군郞幢將軍 - 백제百濟 잔적을 방어하기 위해 임명됨
동타천冬陁川
661 대내마大奈麻 - 고구려高句麗의 공격을 잘 방어해 승진함
종정宗貞
661도독都督
진주眞珠
661 대당장군大幢將軍
흠돌欽突
661 대당장군大幢將軍
668 대당총관大幢摠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