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8

수원의 조선 시대 시전과 둔전 (정조의 농업, 상업 정책, 수원화성박물관)

수원의 조선 시대 시전과 둔전 (정조의 농업, 상업 정책, 수원화성박물관) 농업개혁의 산실, 수원 정조는 신도시 수원을 자급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하여 농업과 상업 생산기반 시설(둔전과 시전)을 마련하였다. 화성 일대에 만석거를 비롯한 저수지와 국영농장인 둔전이 바로 그것이다. 정조는 신도시 수원을 건설하면서 화성 일대에 만석거를 비롯한 저수지와 국영 농장인 둔전을 만들어 안정적인 농업기반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토지 없는 백성들은 둔전을 경작하여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게 하는 한편, 이들이 수확한 양곡으로 화성에 주둔한 장용외영 군사들의 군량미와 급여를 확보하게 하였다. 또한, 저수지와 수차를 이용한 농법 개발과 이앙법의 대대적인 실시로 생산량을 크게 향상해 수원을 농업과 상업(둔전과 시전)의 선진 도시로 ..

동아시아 역사 2017.10.27

조선 정조 대왕 화성행궁, 조심태에게 보낸 어찰첩 (수원화성박물관)

조선 정조 대왕 화성행궁, 조심태에게 보낸 어찰첩 (수원화성박물관) 조선 정조 대왕 화성행궁화성행궁은 1789년(정조 13)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정조 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현륭원으로 이장하면서 수원 신도시를 건설하고 성곽을 축조했으며 1790년에서 1795년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중요 경유지에 과천행궁, 안양행궁, 사근행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화성행궁 등을 설치하였다. 그중에서도 화성행궁은 규모나 기능 면에서 단연 으뜸으로 뽑히는 대표적인 행궁이라 할 수 있다. 화성행궁은 평상시에는 조선 정조가 수원부 유수留守가 집무하는 관아로도 활용하였다. 정조는 1789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 이후 이듬해 2월부터 1800년(정조 24) 1월까지..

동아시아 역사 2017.10.26

수원화성 축성, 도로, 재료 (수원화성 박물관, 풍납토성, 삼년산성, 강화외성)

수원화성 축성, 도로, 재료 (수원화성 박물관, 풍납토성, 삼년산성, 강화외성) 조선 시대 성곽의 결정체, 수원화성 수원화성은 조선성곽과 이웃 나라 성곽이 지닌 장점을 결합하여 새로운 시설물을 고안한 성곽 건축의 결정체다. 수원화성은 삼국시대 이래 우리 성곽 문화가 지닌 우수성을 바탕으로 중국 및 일본 성곽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성곽이다. 각각의 시설물들은 방어 기능뿐만 아니라 저마다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다. 특히 지형과 지세를 거스르지 않고 자연을 크게 훼손하지도 않으며, 꼭 있어야 할 자리에 해당 기능을 가진 시설물을 배치한 점은 저절로 탄성이 나온다. 또한, 화성에는 정조의 애민정신이 깃들어 있다. 축성 기간 중 지나치게 춥거나 더울 때는 공사를 중지하고, 기존의 설계를 바꿔가면서까지 민..

동아시아 역사 2017.10.25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광개토태왕과 후연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광개토태왕과 후연 복수, 후연을 몰아붙이다광개토태왕은 거란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서쪽 변경을 순시하며, 북연에게 무력시위를 하는 동시에, 고구려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의 건재함을 알린 적이 있습니다. 이후 양국은 영토를 뺏고 뺏습니다. 변경에선 수많은 시체와 병장기들이 땅속에 묻힌 상황이었을 겁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장의 국면이 바뀌는 시기가 있었으니, 400년 2월에 이뤄진 후연의 고구려 광개토태왕의 기습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구려는 신성과 남소성을 비롯한 700리 땅을 빼앗기고 5,000여 호의 백성도 빼앗깁니다.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은 신라를 거쳐 가야로 진군한 남해안 정벌군을 복귀시킨 뒤, 대대적인 반격에 나섭니다. 400년 3월 ~ 401년 사이에 잃어버린 70..

동아시아 역사 2017.10.24

수원 화성성역의궤와 수원 출신 김후 (수원화성박물관)

수원 화성성역의궤와 수원 출신 김후 (수원화성박물관) 김후 초상김후金㷞(1751~1805)의 본관은 해풍海豊이고 자는 광중光仲이며 증호조참판贈戶曹參判 김상걸金相傑(1727~1798)의 아들이다. 1771년(영조 47) 정시 무과에 급제 후 출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790년(정조 14) 수원중군에 제수되었고, 1791년 당시 수원부 읍치邑治의 외곽을 호위하던 독성산성禿城山城의 중군을 역임하였다. 1793년에는 경기중군이 되어 경기지역의 모든 군사업무를 실질적으로 통솔하게 되는데, 수원 화성 축성(화성성역의궤를 만든 이유)이 시작되기 딱 1년 전이었다. 정조가 의도적으로 수원 토박이 무반 가문 출신의 김후를 중용하였다. 1794년 2월 화성성역 별감동別監蕫이 되어 화홍문, 방화수류정 등 시설물의 현장감독..

동아시아 역사 2017.10.23

수원화성 축성 일정표 (수원 관광 코스로 좋은 이곳)

수원화성 축성 일정표 (수원 관광 코스로 좋은 이곳) 수원화성 축성 일정표 수원화성 축성 - 1794년 1월 7일 : 숙지산에서 석재를 뜨기 시작하다1월 25일 : 성터를 닦다 2월 28일 : 장안문, 팔달문, 화홍문, 남수문 지을 터를 닦다 4월 28일 : 제중단을 나누어 주다 6월 25일 : 척서단을 나누어 주다 7월 9일 : 화홍문의 주춧돌을 놓다7월 12일 : 폭염으로 성 쌓는 일을 잠시 멈추다7월 15일 : 장안문의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우다7월 18일 : 장락당 지을 터를 닦다 8월 2일 : 낙남헌 지을 터를 닦다8월 7일 : 팔달문의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우다8월 11일 : 장락당의 주춧돌을 놓고, 서장대 지을 터를 닦다8월 13일 : 장락당 기둥을 세우고, 상량을 하다. 낙남헌 주춧..

동아시아 역사 2017.10.22

조선 정조 대왕, 생애와 업적 그리고 연보

조선 정조 대왕, 생애와 업적 그리고 연보 정조 대왕 연보 1세 - 조선 정조 대왕 탄생 1752년 9월 22일 : 창경궁 경춘전에서 탄생 8세 1759년 2월 12일 : 왕세손으로 책봉1761년 3월 10일 : 입학례를 올림1761년 3월 18일 : 관례를 올림 자字는 형운亨運 11세 - 조선 정조 대왕 결혼 1762년 2월 2일 : 김시묵의 딸(효의왕후)과 가례를 올림1762년 윤5월 21일 : 아버지 사도세자 서거(임오화변)1762년 8월 3일 : 동궁이 됨 13세 1764년 2월 23일 : 효장세자(진종, 사도세자의 형)의 후사가 됨 24세 - 조선 정조 대왕 대리청정 1775년 12월 7일 : 대리청정을 시작1776년 3월 20일 : 사도세자를 장헌세자莊獻世子로, 무덤을 영우원永祐園으로, 사당을..

동아시아 역사 2017.10.21

삼국지 강의 2권, 유비, 조비, 손권의 정치 (남로당쟁의 비밀?)

삼국지 강의 2권, 유비, 조비, 손권의 정치 (남로당쟁의 비밀?)삼국 시대를 소재로 한 만화책엔, 창천항로와 화봉요원 등이 있다. 시대의 흐름이나 한 개인의 인생에 초점을 맞춘 책에는 인간 조조, 삼국지의 세계 등이 있다. 하지만, 삼국지 강의는 기존의 책과는 전혀 다르다. 전혀 다른 색다른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책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대게 진수의 삼국지와 배송지의 주를 기반으로, 중국 내 연구자들의 견해를 나름대로 해석해 인용하고 있다. 이건 분명히 한국 독자들에겐 흥미를 일으키는 큰 요소다. 추가로, 삼국지 강의 작가인 이중톈 선생의 독서량이 매우 많다는 것도 느껴볼 수 있다. 촉나라엔 사관이 없었기에 여러 사서를 교차 검증하는 게 필수인데, 그 많은 사례를 모두 검증한 결과가 책에 담겨있다. (위..

동아시아 역사 2017.10.20

제갈량이 맹획을 제압한 이유, 칠종칠금 원인

제갈량이 맹획을 제압한 이유, 칠종칠금 원인 상편에서 이어지는 포스트 상편 - 칠종칠금, 제갈량의 남방 맹획 정벌과 촉나라의 기초 확립 [링크] 이것은 잘 알다시피 맹획이 독룡동의 동주 타사대왕의 도움을 얻어 제갈량의 군대와 대적할 당시 물을 마시면 벙어리가 되고, 살이 타서 시커멓게 변한 후 썩으며, 몸이 솜처럼 힘이 없어진다는 독천이 있던 곳이란다. 또 곡정을 한때 둔하屯下라고 하였는데, 제갈량이 맹획을 정복하고 이곳에 둔전을 열고 선진 문물을 전파한 곳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곡정 일대가 현재 중국인에게는 칠종칠금의 고사가 얽힌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삼국지연의를 보면 이 독룡동이라는 곳도 서이하 근방으로 묘사되고 있으니 작가 나관중의 지리 지식은 우리를 매우 혼란스럽게 한다. 삼국지연의에는 많은 ..

동아시아 역사 2017.10.19

정조 수원화성과 사도세자, 현륭원과 사도세자 유품들 (장헌세자)

정조 수원화성과 사도세자, 현륭원과 사도세자 유품들 (장헌세자) 정조가 공을 들여 조성한 수원화성 인근엔 사도세자의 흔적이 많습니다. 자연스레 만들어지진 않고 아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그리워하여 인위적으로 조성한 것인데요. 대표적으로 현륭원과 용주사가 있습니다. 용주사엔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이 있는데, 여기엔 부모와 자식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차있죠. 이제 소개할 아래 사진들은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직접 찍었습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 영조 - 장조(사도세자) - 정조의 시대 조선 후기 르네상스라 불리는 영조-장조(사도세자)-정조의 시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모두 안정되고 크게 발전하여, 마치 청淸의 황금기라 불리는 강희제-옹정제-건륭제의 시대와 비견할 만하다. 정조는 왕위에..

동아시아 역사 2017.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