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8

조조 삼국지 관도대전 下, 장합이 곽도 때문에 항복하다

조조 삼국지 관도대전 下, 장합이 곽도 때문에 항복하다 세 번째 일의 발생은 순식간에 형세를 완전히 역전시켜놓는데, 이것은 바로 장합張郃의 배신입니다. 장합은 원소의 대장으로 용맹과 지모가 있었을 뿐 아니라 기주에서부터 원소를 따랐습니다. 삼국지 장합전에 따르면, 조조가 오소를 기습하자 원소도 이 소식을 듣습니다. 장합은 곧바로 증원군을 보낼 것을 주장하는데, 곽도가 반대합니다. 곽도는 말합니다. "장합의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우리는 조조의 대본영을 공격해야 합니다. 조조도 자신의 근거지가 공격을 받는다는 말을 들으면 반드시 군대를 돌려 관도를 구원할 테니, 오소의 포위도 풀릴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구원하지 않아도 저절로 해결되는 계책입니다." 장합은 말합니다. "그것은 절대 불가능합니다.조조의 대본..

동아시아 역사 2017.08.15

조조 삼국지 관도대전 中, 허유가 불태운 원소의 오소

조조 삼국지 관도대전 中, 허유가 불태운 원소의 오소 삼국지 관도대전 전환 단계 중, 두 번째 일은 더 결정적인 것으로서, 바로 허유가 배반하고 도망간 것입니다. 허유가 배반하고 도망간 이유에 대해서는 세 가지의 견해가 있는데, 삼국지에서는 두 가지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무제기 - "허유는 재물에 욕심이 많았는데, 원소가 만족하게 해주지 못하자 도망했다." 순욱전 - "심배審配가 허유의 가족들이 법률을 위반했기 때문에 그의 처와 자식들을 체포했다. 그러자 허유가 화가 나서 원소를 배반했다." 습착치習鑿齒의 한진춘추漢晉春秋는 원소가 허유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원소가 조조와 대치하고 있을 때(삼국지 관도대전 당시), 허유는 그에게 일부의 군대만 남겨서 조조를 지키게 한 다음..

동아시아 역사 2017.08.15

테러란 무엇인가? 테러리즘이란 용어에 대해

폭력적인 공포정치 또는 암흑 정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테러terror 라면 테러리즘을 뜻한다. 테러는 위협, 폭력, 살상 등의 끔찍한 수단을 수반하므로, 테러, 테러리즘, 테러리스트라는 말들은 사람들에게 공포와 전율을 느끼게 한다. 테러리즘에 대한 개념과 정의에는 시각과 관점에 따라 약간의 차이와 이견이 있었다. 같은 사건을 보면서도 관점에 따라서는 테러리즘으로 규정하기도 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일반범죄로 취급하기도 하며, 다른 시각, 즉 특정 집단에서는 애중적愛衆的, 애국적인 행동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따라서 테러리즘에 대한 견해는 합의적 정의를 기대하기 힘든 것으로, 테러리즘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주장이나 이론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1937년 국제연맹League of Nation에서 개최된..

동아시아 역사 2017.08.14

금관가야의 성장과 쇠퇴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제작한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로서, 삼국지 왜인전에는 이런 기록이 있다. 대방군에서 왜로 갈 때 해안을 따라 바닷길로 가는데 남쪽으로 갔다가 동쪽으로 가면 구야한국에 이르고, 여기서 바다를 건너 1천여 리 가면 대마국對馬國에 이르고, 다시 바다 건너 1천여 리를 더 가면 일지국一支國에 이르고, 다시 바다 건너 1천여 리를 더 가면 말로국末盧國에 이른다. 흔히 대마국은 지금의 대마도, 일지국은 지금의 이키섬壹岐島, 말로국은 큐슈九州 북부의 해안 지역으로 추정한다. 그러므로 3세기 중후반경 김해의 구야국이 해상교통의 요지였음을 알 수 있다. 모두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말에 조영된 덧널무덤이므로, 이 무렵 금관 가야의 교역 활동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동아시아 역사 2017.08.13

하멜과 나가사키 총독의 심문 내용

나가사키 총독이 한 질문과 이름을 밝힌 우리가 대답한 답변 내용. 1666년 9월 14일 1. 너희들은 어느 나라 사람들이며 어디서 왔는가?우리는 네덜란드 사람이며 조선에서 왔다. 2. 어떻게 조선에 가게 되었으며 타고 간 배는?1653년 8월 16일 스페르베르호가 5일간 계속된 폭풍우로 난파되어서 조선에 가게 되었다. 3. 배가 난파된 곳은 어디이며 사람은 몇 명이었고 대포는 몇 문 있었는가?우리는 켈파르트라 부르고 조선 사람들은 제주도라 부르는 섬 근처였고, 승무원은 64명, 대포는 30문이었다. 4. 켈파르트 섬은 본토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 섬의 상황은?본토 남쪽으로부터 75km 또는 95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인구는 조밀하고 땅은 비옥하다. 그 섬 주위는 110km 정도 된다..

동아시아 역사 2017.08.12

대가야와 소가야, 철기 문화와 무덤 (포상팔국의 난)

소가야小加耶 소가야는 삼국지 동이전에 실린 변진 12개국 가운데 고자미동국이 발전한 나라이다. 고자미동국은 고자국古自國, 고사포古史浦, 고차古嗟, 구차久嵯, 소가야小加耶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중심지는 경상남도 고성이었다. 소가야는 해상 활동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소가야를 비롯한 해안지역의 8개국이 금관가야 또는 아라가야를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구멍있는 작은 항아리 큰 입 항아리나 긴 목항아리의 몸통 중앙에 작은 구멍이 있는 토기를 말한다. 주로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남 서해안부터 경남 남해안에 걸친 해안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일본의 스에키에서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며, 가야에서는 고성 지역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이처럼 고성 지역 고분군에서 출토된 구멍 있는 작은 항아리는 영..

동아시아 역사 2017.08.11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방법과 재료들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벌집의 찌꺼기를 가열, 정제하여 얻어지는 밀랍에 자본을 붙여 글자를 새긴 뒤 이암(석비레), 황토, 모래 등을 혼합한 흙으로 감싸 주형을 만든다. 주형이 마른 뒤 가열하여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쇳물을 부어 활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1. 글자본을 밀랍봉에 뒤집어 붙여 밀랍자를 새긴다. 2. 밀랍자를 밀랍가지에 붙인다.3. 이암(석비레), 황토, 모래 등을 혼합하여 밀랍가지를 감싸 주형을 만든다. 4. 주형이 마르면 열을 가해 밀랍을 녹인다. 5. 주형 내에 쇳물을 부어 활자를 만든다. 6. 주형을 깨뜨려 가지쇠에 붙은 활자를 떼어내 다듬어서 완성한다.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재료1 밀랍을 이용한 금속활자 주조 재료2 출처 - 고인쇄박물관

동아시아 역사 2017.08.09

삼한 속의 변한과 전근대의 인식

한韓 또는 삼한三韓이라는 이름은 종족 혹은 지역 명칭으로서 늦어도 3세기 무렵에 이미 중국에 알려져 있었다. 중국에서 3세기 전반기에 편찬된 사승의 후한서, 3세기 말엽에 편찬된 진수의 삼국지 등이 대표적인 기록이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조선후 준이 예전에 함부로 왕이라 일컫다가 연에서 망명한 위만에게 공격받아 빼앗기자 가까운 나인宮人들을 거느리고 바다로 달아나서 한韓 땅에 살며 스스로 한왕韓王이라고 하였는데, 그 자손이 끊어졌으나 지금도 한인韓人은 그 제사를 받드는 사람이 있다. 이에 고조선에서 위만이 준왕을 내쫓고 즉위한 해가 기원전 194년이므로 기원전 2세기 초에는 한반도 남부지역에 한이 성립하였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있다. 한은 대..

동아시아 역사 2017.08.08

백제 건국 - 나라를 세우다

백제는 마한馬韓 54국의 하나인 백제국伯濟國이 커진 나라이다. 건국설화에 따르면 기원전 18년 졸본부여 왕녀와 고구려 시조 주몽 사이에서 태어난 온조가 형 비류와 함께 백성과 신하들을 이끌고 남쪽으로 내려와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 나라를 세울만한 땅을 살폈는데, 비류는 미추홀을 선택했고, 온조는 한강 남쪽의 위례성에서 백제를 세웠다고 한다. 이를 통해 백제는 부여, 고구려 등의 북방계통과 마한 등의 남방계통 주민이 함께 어우러진 나라임을 알 수 있다. 기원 전후 무렵,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는 삼한이 있었다. 삼한이란 마한, 진한, 변한을 말한다. 마한은 54개의 소국으로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 진한과 변한은 각각 12개 소국으로 이루어졌으며 오늘날의 경상도 지역에 있었..

동아시아 역사 2017.08.07

금속 활자 주조 및 인쇄 과정

금속 활자 주조 및 인쇄 과정 청주 고인쇄박물관에 소개된 활자 주조 방법과 인쇄 과정입니다. 활자만들기1.글자본 붙이기 활자만들기2.밀랍글자 새기기 활자만들기3.밀랍가지 붙이기 활자만들기4.흙채우기 활자만들기5.쇳물붓기 활자만들기6.낱개활자 완성하기 활자만들기7.조판하기 활자만들기8.인쇄하기 밀랍 재료와 인쇄 과정 밀랍재료-밀랍막대 밀랍재료-밀랍가지 및 탕도 밀랍재료-밀랍주형 밀랍재료-활자가 주성된 모습 완성된 금속 활자 금속활자로 찍은 책종이 출처 - 청주 고인쇄박물관

동아시아 역사 2017.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