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6/11/23 2

조선 시대의 재상 (종2품 이상의 고관이 재상)

조선 시대의 재상 (종2품 이상의 고관이 재상) 고려의 행정 체계와 법제를 고스란히 계승한 조선은 종2품 이상의 고관을 모두 재상으로 호칭했습니다. 정1품인 삼정승부터 종2품인 관찰사, 병마절도사까지 재상급 관리로 호칭했는데 고려와 달리 무신도 재상으로 호칭한 것이 이채롭습니다. 여기에 정3품인 통정대부와 절충장군도 재상의 대우를 받았고 승정원의 승지 역시 품계는 이르지 못했지만, 왕명출납이라는 중책으로 재상급의 대우를 받았습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조선의 재상은 60명에 이르렀는데 이렇게 재상이 많다 보니 품계나 출신에 따라 1품 재상 2품 재상 3품 재상 문신재상 무신재상 종친재상으로 구분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레 정 2품 이상을 별도로 대감大監이라하고 그 이하 당상관을 영감令監이라 통칭하는 것이 일반..

동아시아 역사 2016.11.23

육진의 난, 성민의 대란, 쇠퇴하는 중국 북위와 무능한 호태후

육진의 난, 성민의 대란, 쇠퇴하는 중국 북위와 무능한 호태후 호태후 시기, 심화하는 지방 군인의 불만 정년격으로 인해 폭발 점까지 달해 있던 우림, 호분 군사의 불만은 일단 해소되었으나, 이런 인사의 퇴폐로 인하여 관계官界의 분위기가 침체한 것은 당연했다. 육진의 난은 어찌보면 필연적이었다. 그리고 중앙에 있던 북족 군인의 불만은 이것으로 해소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는 지방 특히 변경에 배치된 군인들의 불만이었다. 중국 북위의 화북 지배는 요소요소에 비치된 진鎭과, 진이 주州로 전환된 후에도 아직 그곳에 주둔하는 북족 군사의 군사력에 의해 지탱되고 있었다. 그들은 중앙의 우림, 호분의 군사만큼은 아니라 해도 역시 군인으로서 북위를 지탱한다는 높은 자긍심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효문..

동아시아 역사 2016.11.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