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구정광대다라니경 2

신라 시대 인쇄술 - 화엄경, 다라니경, 민정 문서(촌락 문서)

고대의 각종 그림과 기호, 상징과 같은 초기 기록문화단계를 거쳐 중국에서 전파된 한자漢字를 바탕으로 각종 비문碑文과 금석문金石文이 만들어졌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각종 목간木簡과 닥종이에 먹으로 쓴 사경寫經이 제작되었으며, 문헌 기록에 의하면 역사책이 편찬되는 등 기록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한편,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하고 이와 함께 각종 서적이 유입되면서 생산된 기록을 보급하고 유통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이를 위해 독자적인 판본板本을 만들어 기록을 다량으로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는데, 나무판에 문자를 새기고 이를 종이에 찍는 목판 인쇄가 시작이었다. 한국에서 특판인쇄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966년 10월에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제21호)..

동아시아 역사 2017.07.26

동양의 인쇄 문화와 중국, 일본의 인쇄 역사

동양의 인쇄문화 중국의 채륜蔡倫에 의해 종이가 개량되고 보급되면서, 탑본기술로부터 목판인쇄가 시작되었다. 11세기에 들어 중국의 필승畢昇이 흙을 구워 만든 교니활자膠泥活字로 인쇄를 시도하였고, 고려에서는 금속활자를 창안하여 직지를 인쇄하였다. 일본에서는 770년에 목판으로 백만탑다라니百萬塔陀羅尼를 인쇄하였으며, 중원지방의 목판인쇄기술이 서북지역인 돈황의 위구르인들에게 전파되어 각종 불경의 번역과 판각 불화 인쇄에 응용되었다. 한편 기원전부터 동서양 교류의 중심이 되었던 실크로드를 통해 동양의 종이가 서양에 전파된 것처럼 동양의 인쇄, 출판문화 역시 실크로드를 통해 교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로서는 당시 각국의 인쇄 관련 자료들을 통해 그 가능성만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중국 중국의 활자제작에 관..

동아시아 역사 2017.07.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