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지인 소설의 분류와 대표작 세설신어에 대해

믿을만한 건강정보 2016. 12. 31. 06:03

☆ 지인 소설의 분류


- 소화류笑話類

소화笑話는 상리常理에 어긋나는 언행을 통하여 세상의 모순을 들춰냄으로써 사람들에게 오락과 교훈을 제시하는 일종의 문학형식인데, 중국 소화의 전통은 멀리는 선진 우언의 풍자고사에서, 가까이는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소화의 형식은 처음 민간에서 비롯되었다가 나중에 점차 문인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 현존하는 소화집笑話集은 대부분 문인의 작품이다. 주요 작품에는 소림笑林, 계안록啓顔錄 등이 있다.


☆ 대표작 소림笑林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인소설집으로 소화전집笑話專集을 위나라 한단순邯鄲淳이 찬했다. 그러나 이미 유실되었으며 노신의 고소설구침에 29조가 집록 되어 있다.


한단순이 지은 효녀조아비문한단순이 지은 효녀조아비문

(출처 : 东汉邯郸淳《孝女曹娥碑》)


효녀 조아비 일러스트효녀 조아비 일러스트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소림笑林은 신괴한 내용이 아닌 실제 인간생활의 여러 단면을 제재로 취하고 인물의 형상화에 뛰어난 등 기본적으로 지인 소설의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술 방법이 선진우언과 흡사하고 고사의 풍격상 우언의 설교적인 분위기가 짙게 깔렸으며 민간 고사의 색채가 강하게 배어있는 등 아직 자서子書로 부터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다. 그러나 소림笑林은 중국 소화문학의 비조로서 그 해학성과 풍자성은 이후 위진남북조 지인 소설의 주요한 내용 특성이 되었으며, 소림笑林의 영향으로 창작된 계안록啓顔錄과 함께 지인 소설 중에서 특색 있는 하나의 유파를 형성했다.


계안록 각주 표지계안록 각주 표지

(출처 : 바이두 이미지)


※ 계안록啓顔錄

수나라 후백侯白이 찬했다. 이미 유실되었으나 최근에 나온 조림제曹林娣, 이천李泉이 집주한 계안록啓顔錄上海古籍出版社, 1990은 돈황사본敦煌寫本에서 40조, 태평광기太平廣記에서 61조, 유설類說에서 3조 등 총 104조를 집록하고 상세한 안어按語와 교주를 가하여 가장 훌륭한 집본輯本이자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104조의 유문을 통하여 살펴보면 계안록啓顔錄은 선진, 양한, 삼국, 진, 남북조, 수, 당의 인물들에 관한 소화를 모아 놓은 것인데, 그 가운데 당인唐人에 관한 기록은 후인이 찬입한 것이 분명하다.


대부분의 고사가 실재 인물의 실제 언행을 묘사하고 있어서 같은 소화전집인 한단순의 소림笑林보다 훨씬 지인 소설적인 특성에 근접했다. 계안록啓顔錄은 기본적으로 소림笑林의 영향을 받아서 나온 것이지만 내용상 소림笑林처럼 민간 고사의 성격이 강하지 않고 문체상으로도 소림笑林의 질박함에 비하여 훨씬 수식적이다.


- 일화류

일화류는 주로 문인,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 상류층 인물의 언행과 일화를 기록하여, 위진남북조 명사의 풍류를 반영하고 그들의 사상과 풍모를 그려냈는데 그 내용이 비교적 사실적이다. 주요 작품에는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魏晉世語, 서경잡기西京雜記, 어림語林, 곽자郭子, 투기妬記, 속설俗說, 소설小說, 담수談藪등이 있다.


계안록이 쓰이던 시기의 수나라계안록이 쓰이던 시기의 수나라

(출처 : 91ddcc.com)


☆ 대표작 세설신어世說新語


작자 : 유의경劉義慶(403~444) - 위진남북조의 대표적인 소설가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유송 황실의 종친으로 팽성수리에서 송무제 유유劉裕의 둘째 동생인 장사경왕 劉道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는데. 숙부 임천왕 유도규가 아들이 없어서 유의경이 그의 후사를 이었다. 영초 원년 임천왕에 습봉되어 시중으로 초징되었으며, 원가 원년(424) 산기상시, 비서감, 상서좌복야, 단양윤, 중서령, 평서장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위, 진이래 문인 세계에는 현담지풍玄談之風이 크게 성행하였는데, 청담을 숭상하던 당시 사대부들은 은일 사상에 빠짐으로써 정치와 현실을 도외시하며 소극적인 사상에 몰입하는 한편, 세속 초탈을 귀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청담이 성행하자, 이것들을 모아 기록한 것이 바로 세설신어世說新語이다.


세설신어 만화세설신어 만화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세설신어 만화 구성세설신어 만화 구성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세설신어世說新語 은 주로 서한으로부터 동한, 서진, 동진 등 4조에 걸친 약 200년간 실존했던 제왕과 고관 귀족을 비롯하여 문인, 학자, 현자, 은자, 화상, 부녀자 등 628명의 언행과 일화를 총 1,131조에 수록했는데, 그중 70%가 넘는 797조가 동진의 인물에 관한 것이다. 명나라 원씨본 세설신어世說新語에 의하면 판본은 3권본이며 「덕행德行」에서 「구극仇隙」까지 36편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덕행德行, 충의, 효, 청렴, 인애 등 전통적인 유가도덕에 관한 일화 - 47조

2. 언어言語, 청담가들의 지혜로운 말과 문인들의 교언巧言 중심 - 108조, 당시 사람들의 언어습관을 알 수 있다.

3. 정사政事, 동진東晋시대 지배계급의 치적과 정계의 일화 - 26조, 당시 정치상황의 일단이 비교적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4. 문학文學, 노장老莊학을 중심으로 한 현학玄學과 유학, 불학 등 학술과 당시 문인들의 문학 활동 - 104조, 당시의 학술사상과 문학 관념이 잘 드러나 있다.

5. 방정方正, 현사賢士들의 바르고 모범이 되는 언행 - 66조


6. 아량雅量, 인격이 단아하고 도량이 넓은 언행 - 42조

7. 식감識鑑, 사리를 식별하고 시비를 감별하면서 뛰어난 일화 - 28조

8. 상예賞譽, 인물의 품격과 재능의 훌륭함에 대한 감상과 칭송 - 156조

9. 품조品藻, 인물을 비교하고 우열을 가림으로써 품평을 가하는 일 - 88조

10. 규잠規箴, 충정한 말로 서로 권계하는 일화 - 7조


11. 첩오捷悟, 총명한 재지才智로 생각이 민첩하고 깨달음이 빠른 일화 - 7조

12. 숙혜夙惠, 어린 나이에 총명함과 지혜를 갖춘 일화 - 7조

13. 호상豪爽, 기품이 호탕하고 시원스러워 범속하지 않은 일화 - 13조

14. 용지容止, 주로 준수한 용모와 훌륭한 행동거지에 관한 일화 - 13조

15. 자신自新, 과오를 뉘우치고 개과천선한 일화 - 2조


16. 기선企羨, 타인의 훌륭한 덕망을 흠모하여 따르는 일화 - 6조

17. 상서傷逝, 죽은 자를 애도하는 여러 가지 언행 - 19조

18. 서일棲逸, 산속에서 은거하는 은자들에 관한 일화 - 17조

19. 현원賢媛, 어진 품덕을 갖춘 부녀자들의 언행 - 32조

20. 술해術解, 기예에 통달하여 의심과 어려움을 잘 풀어내는 일화 - 11조


21. 교예巧藝, 서법, 회화, 조각, 건축, 기사騎射 등의 정교한 재주와 예술 - 14조

22. 총례寵禮, 신하에 대한 임금의 은총과 하관에 대한 하관의 예우 - 6조

23. 임탄任誕, 죽림칠현의 방종스런 행동 - 54조

24. 간오簡傲, 예법을 무시하고 거만하거나 오만불손한 언행 - 17조

25. 배조排調, 조롱과 조소를 통하여 풍자하는 일화 - 65조


26. 경저經詆, 타인을 멸시하고 헐뜯는 일화 - 33조

27. 가휼假譎, 휼책譎策과 농간弄奸으로 남을 속이는 일화 - 14조

28. 출면黜免, 관직에서 축출되거나 파면당하는 일화 - 9조

29. 검색儉嗇, 절약하고 검소하는 생활과 인색함 두 유형의 일화 - 9조

30. 태치汰侈, 지나치게 사치하고 재물을 낭비하는 일화 - 12조


31. 분견忿狷, 성질이 조급하고 쉽게 화내는 일화 - 8조

32. 참험讒險, 음험하게 남을 비방하고 헐뜯는 일화 - 4조

33. 우회尤悔, 과오를 저지른 뒤 스스로를 탓하고 후회하는 일화 - 17조

34. 비루紕漏, 잘못 처신하여 낭패를 보는 일화 - 8조

35. 혹닉惑溺, 주로 여색을 탐닉하여 이성을 잃어버리는 일화 - 7조

36. 구극仇隙, 서로 원수처럼 서로 미워하는反目 일화


☆ 세설신어의 특징

(중국 육조六朝, 송宋) 5세기의 임천왕臨川王 유의경劉義慶이 편집한 일화집逸話集으로 양梁 유효표劉孝標가 주註를 달았다. 본래세설世說이라 불렀으며세설신어世說新書라고도 한다. 구성상으로는 고사의 편 폭이 짧아 보통 하나의 고사가 100여 자 정도로 이루어져 있고, 가장 긴 고사도 300~400자를 넘지 않고, 36개의 편목으로 나누어 내용에 따라 유사한 고사들로 묶어 놓고 그 고사들은 등장인물의 시대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일정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고사마다 서로 다른 인물이 등장하여 중심인물이 없다.


내용 면에서 덕행德行, 언어言語, 정사政事, 문학 등 36문門으로 나누어 후한後漢에서 동진東晋까지의 명사의 일화를 수록하였다. 고아高雅한 내용과 간결, 청신한 문장은 위魏, 진晋의 시대사조를 보이고, 사상적으로는 유가, 노장사상, 불교가 융합되어 있으며, 인물의 성격과 특성을 생동감과 현실감 넘치게 표현하고, 정련된 언어와 함축적인 문장으로 풍부한 심미성을 구현하였다.


오우천월 - 오나라 소는 달만 봐도 헐떡거린다오우천월 - 오나라 소는 달만 봐도 헐떡거린다

(출처 : 吴牛喘月)


☆ 세설신어의 영향과 의의 

세설신어世說新語는 인물의 성격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간결하게 정련되고 함축적인 언어를 구사하여 훗날 성어와 경구로 널리 쓰이게 되는데, 예로 "난형난제難兄難弟""오우천월吳牛喘月"이 있다. 등장 인물 간의 구어로 이루어진 대화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점 역시 다음 세대의 소설형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世說新語는 그 문학성이 원작에 미치지 못하지만 수많은 속작이 나와 그 체제와 내용, 묘사수법 등을 답습하고 지인소설로서의世說新語의 위치를 확고히 해준다.


난형난제, 요즘도 많이 쓰이는 성어난형난제, 요즘도 많이 쓰이는 성어

(출처 : 바이두 이미지)


출처 : 중국문학.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