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고] 발해, 발해왕의 외교, 교역, 접촉 기록 (당나라, 돌궐, 일본, 요나라)
[발해고 발해왕][상경용천부 발해 박물관] 대조영 초상, 고구려를 잇는다는 의미로 고왕이라 쓰여있다
발해고에 나온 발해, 발해왕과 외국과의 접촉 기록입니다.
※ 접촉 연도, 접촉 세력, 접촉 이유, 비고
발해왕, 진국공
???, 돌궐(突厥)
: 외교 접선, 세력을 이루었음을 돌궐에 알림
발해왕, 고왕
698, 당(唐) : 당의 위문, 아들을 당에 보내 황제를 모시게 함
713, 당(唐) : 당의 책봉, 좌효위대장군 발해군왕 홀한주도독을 받음
발해왕, 무왕
719, 당(唐) : 당의 조문
726, 흑수말갈 : 말갈에 대한 공격, 동생 문예가 이를 따르지 않고 당으로 도망감
732, 당(唐) : 당에 대한 공격, 문예 사건에 앙심을 품고 그에 대해 복수를 함. 당의 등주자사 위준을 죽임
733, 734, 흑수말갈 : 말갈에 대한 공격, 두 해에 걸쳐서 흑수말갈이 발해에 완전히 복속되었을 것으로 추정
738, 당(唐) : 당의 책봉, 좌효위대장군 한주도독 발해군왕을 받음
738, 당(唐) : 당 황제의 알현, 좌금오대장군직을 받음
[발해고] 발해왕 무왕의 세력 확장
(출처 : 발해 멸망과 부흥운동)
742~756, 당(唐) : 당의 책봉, 특진 태자첨사 태자 빈객을 받음
712~756,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29회에 걸쳐 당에 조공을 바침
756, 안녹산(安祿山) : 안녹산의 내문, 안녹산의 신하 장원간이 발해에 속임수를 썼지만, 문왕이 이를 간파하고 장원간을 억류함
756,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소야조신전수가 발해에 와서 당의 내부 사정을 묻고 그 내용을 천황에게 보고함
759, 당(唐) : 당의 내문, 안녹산의 난 때문에 당이 위태롭다는 소식을 접하지만 한 번에 믿지 않고 따로 조사함
762, 당(唐) : 당의 책봉, 발해를 국(國)으로 삼는다는 조칙을 받음
767~775,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한 해에 두 세 번씩 당에 조공을 바침
777,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일본 무녀 11명과 함께 당에 조공을 바침
재위 연간,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당에 조공을 바침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에 11회에 걸쳐 사신을 파견함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에 사사명과 안녹산의 난에 대해 알림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왕신복, 이능복이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됨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만복등이 힘들게 국서를 전하고 돌아옴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사람 내웅등의 안부를 알기 위해 일본에 사신이 파견됨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187명이 사절단으로 파견되었지만 표류하여 46명만 살아남음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 사신이 표류하여 배를 만들어서 돌려보내고 그 사실을 알림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에 사신을 보냈지만, 국서가 전례에 어긋난다 하여 거절당함
[발해고] 발해 지도, 남쪽엔 신라
발해왕, 폐왕
발해왕, 성왕
발해왕, 강왕
795, 당(唐) : 당의 책봉, 우효위대장군 홀한주도독 발해군왕을 받음
798, 당(唐) : 의견에 대해 피력, 은청광록대부 검교사공 발해국왕을 받음
805,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806, 당(唐) : 당의 책봉, 검교태위를 받음
806,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순종 연간, 당(唐) : 당의 책봉, 금자광록대부를 받음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일본에 두차례 사신을 보냄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여정림등 68명이 사신으로 파견되었지만 표류함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여정림이 일본 승려 영충의 편지를 천황에게 건네주고 답장을 받음
재위 연간, 일본(日本) : 외교 접선, 대창태가 사신으로 파견되어 크게 대접받았으며, 일본에선 사신단을 위해 임시 궁전을 만들고 사신단이 묵을 곳을 따로 만들고 수리함
발해왕, 정왕
809, 당(唐) : 당의 책봉,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홀한주도독 발해국왕을 받음
810,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발해왕, 희왕
813, 당(唐) : 당의 책봉,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홀한주도독 발해국왕을 받음
발해왕, 간왕
발해왕, 선왕
818, 당(唐) : 국상을 알림, 간왕의 사망을 당에 알림
818, 당(唐) : 당의 책봉,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홀한주도독 발해국왕을 받음
820, 당(唐) : 불명, 금자광록대부 검교사공을 받음
820,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발해고] 발해 당시, 서쪽의 거란, 해족, 당나라, 돌궐
806~820,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열 여섯 번 바침
822,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824,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조공을 바침
821~824,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네 번 당나라에 조공을 바침
825~827,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두 번 당나라에 조공을 바침
발해왕, 이진
831, 당(唐) : 당의 책봉, 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홀한주도독 발해국왕을 받음
832,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당에 조공을 바침
833,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2차례 조공을 바침
문종 연간,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열 두 번 당에 조공을 바침
841~846,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네 번 당에 조공을 바침
발해왕, 건황
858, 당(唐) : 국상을 알림, 왕 이진의 사망을 당에 알림
858, 당(唐) : 당의 책봉, 왕위를 잇도록 하는 명을 받음
발해왕, 현석
860~873, 당(唐) : 당에 대한 조공, 세 번 당에 조공을 바침
[발해고] 거란족 요나라 황실 생활
발해왕, 인선
907, 후량(後粱) : 후량에 대한 조공, 후량에 왕자를 보내 조공을 바치며 토산물도 바침
908, 후량(後粱) : 후량에 대한 조공, 후량에 조공을 바침
912, 후량(後粱) : 후량에 대한 조공, 후량에 조공을 바침
917, 요(遼) : 외교 접선, 불명
919, 요(遼) : 요의 약탈, 요에서 요양의 옛 성을 수리하며 발해사람을 약탈해 그곳에 채움
924, 후당(後唐) : 후당에 대한 조공, 후당에 조공을 바치며 조카를 보냄
924, 요(遼) : 요에 대한 공격, 요주자사 장수실을 죽이고 그곳 백성을 빼앗아 돌아옴
925, 요(遼) : 요의 공격, 요의 야율아보기의 대대적인 발해 침공 시작. 이해 12월에 부여부를 포위함
926, 후당(後唐) : 후당에 대한 조공, 후당에 조공을 바치며 아이와 여자도 바침
926, 요(遼) : 요의 공격, 홀한성이 포위당하자 왕이 스스로 몸을 묶고 항복을 청함. 발해 멸망
[발해고] 발해, 발해왕의 외교, 교역, 접촉 기록 (당나라, 돌궐, 일본, 요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