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백제의 첨단 무기와 전쟁 연표

믿을만한 건강정보 2017. 7. 24. 19:10
반응형

백제 하이테크 신무기


삼국시대 무덤과 산성에서 발견되는 말갖춤(마구류 馬具類)은 고대사회의 전쟁, 철기제작기술, 집단 간의 교류와 계층성 문제 등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유효한 자료이다.


백제에서는 표비鑣轡, 판비板轡, 환판비環板轡 등 세 가지 재갈이 출토되고 있으며, 발걸이(등자 鐙子)는 나무를 가공하여 모양을 제작한 후, 그 외면을 철판으로 보강하여 만든 발걸이木心鐵板被輪鐙가 주로 출토되고 철제 발걸이도 확인된다.


특히 한강 유역에서는 부여, 고구려, 낙랑 지역에서 출토되는 재갈, 말방울馬鈴, 말발굽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기에는 실용적인 면을 중시하다가, 4세기 이후에는 말갖춤이 신분을 상징하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이 됨에 따라 안장鞍裝, 말드리개杏葉, 말띠꾸미개雲珠 등에 무늬와 호화로운 금, 은 장식이 더해진다.


백제 마구 명칭마구를 구성하는 요소. 재갈, 안장, 말다래, 발걸이, 말띠꾸미개, 말띠드리개


백제 발걸이발걸이. 백제. 충남 천안 용원리


백제 안장안장. 백제. 충남 천안 용원리


백제 말 족쇄족쇄. 백제. 서울 몽촌토성


백제 말 편자편자. 백제. 서울 몽촌토성


백제 쇠 화살촉백제 쇠화살촉. 서울 우면동. 서울 풍납토성. 경기 김포 양촌읍


백제 물미백제 물미. 서울 우면동


백제 판갑판갑. 백제. 경기 안성 망이산성



전쟁과 무기


삼국시대에는 전쟁이 빈번하였다. 백제는 전쟁 승리와 사회체제 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각종 무기를 개발, 보급하였으며, 철자원 확보, 군사동원체계 확립 등에 관심이 깊었다.


백제의 무기는 공격용과 방어용으로 나뉜다.


공격용 무기는 다시 근거리 무기와 원거리 무기로 분류되는데, 근거리 무기는 둥근 고리 큰 칼, 창, 낫, 도끼 등이 있고, 원거리 무기는 활, 화살 등이 있다. 둥근 고리 큰 칼은 고리가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길이는 80cm 이상에서 80cm 이하로 바뀌며 점차 장식이 추가된다. 창은 나무자루와 연결되는 부분이 직선 모양에서 제비 꼬리 모양으로 바뀐다.

화살촉은 슴베가 없는 삼각형 모양의 화살촉에서 점차 슴베가 길어지는 모습으로 변화한다.


방어용 무기는 갑옷, 투구, 방패 등이 있다. 갑옷은 큰 철판을 이어 붙여 만든 판 갑옷과 작은 철판, 나무, 뼛조각을 가공해 가죽으로 엮어 만든 비늘갑옷이 있다. 판 갑옷은 보병, 비늘갑옷은 기병이 주로 사용하였다.


백제 군단 상상도



백제의 4~5세기 전쟁 연표


 분서왕 7년 (304)

 2월  낙랑의 서쪽 현을 공격

 근초고왕 24년 (369)

 3월  가라7국 평정, 남만 침미다례 정벌, 마한 잔여 세력 평정(일본서기)

 9월  고구려의 치양 침입을 물리침

 근초고왕 26년 (371)

        고구려의 침입을 패하에서 물리침

 10월  평양성을 공격함. 고구려 고국원왕 전사

 근초고왕 30년 (375)

 7월  고구려에게 수곡성이 함락됨

 근구수왕 3년 (377)

 10월  왕이 3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

 진사왕 6년 (390)

 9월  고구려의 도곤성을 빼앗음

 진사왕 8년 (392)

 7월  고구려에게 한수 북쪽의 석현성 등 10여 성을 빼앗김

 아신왕 4년 (395)

 8월  고구려를 공격했다가 패수에서 크게 짐

 아신왕 5년 (396)

       고구려가 왕도 한성 근처까지 쳐들어오자 왕이 항복하고

       왕의 아우와 대신大臣 10인 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냄

 아신왕 8년 (399)

 왕이 고구려를 공격하려고 군사와 말을 징발하자 많은 백성이 신라로 도망감

 아신왕 12년 (403)

 7월  신라의 변경을 침입함

 비유왕 29년 (455)

 10월  고구려군이 침입하자 신라가 구원함

 개로왕 15년 (469)

 8월  고구려의 남쪽 변경을 공격함

 개로왕 21년 (475)

 9월  고구려에게 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 등이 살해됨



출처 : 한성백제박물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