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세설신어 감상, 사학과 학생의 리포트 (펌)

믿을만한 건강정보 2017. 4. 12. 21:30
반응형

출처 - 중국문학.com, 중국 시의 이해


소설과 희곡[4].docx


1. 세설신어(世說新語)


세설신어는 남조 송宋나라의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것으로 전체 36편에 걸쳐서 총 1,130조의 고사가 실려 있다. 주로 동한東漢 말에서 동진東晉 말까지 약 200년간 실존했던 제왕과 고관 귀족을 비롯한 문인, 학자, 현자, 은자, 화상, 부녀자 등 700여 명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했다.


그 내용은 당시 명사들의 도덕 수양이나 학술 사상과 문학 관념, 재능, 품성과 개성, 일상생활 및 인간관계 등 철저한 ‘인사人事’를 기록하고 지괴적志怪的인 요소를 배제함으로써 지인 소설이 갖추어야 할 범주를 제시하고 있다.


세설신어의 저자 유의경세설신어의 저자 유의경


1) 세설신어의 내용


1. 덕행德行 - 충의, 효도, 청렴, 인애 등 전통적인 유가도덕에 관한 일을 기록.

2. 언어言語 - 당시 청담가들의 혜어慧語와 문인들의 교언巧言을 중심으로 기록. 당시 사람들의 언어습관을 잘 살펴볼 수 있음.

3. 정사政事 - 주로 동진 통치지배계급의 치적과 정계의 일화를 수록. 당시 정치 상황의 일단이 비교적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음.

4. 문학文學 - 노장학老莊學을 중심으로 한 현학玄學과 유학, 불학 등 학술과 당시 문인들의 문학 활동에 관한 기록. 위진 시대의 학술사상과 문학관념이 잘 드러나 있음.

5. 방정方正 - 당시 현사들의 바르고 모범이 되는 언행을 기록.


6. 아량雅量 - 인격이 단아하고 도량이 넓은 일들을 기록.

7. 식감識鑒 - 사리를 식별하고 시비를 감별하는데 뛰어난 일을 기록.

8. 상예賞譽 - 인물의 품격과 재능의 훌륭함에 대한 감상과 칭송을 기록.

9. 품조品藻 - 인물을 비교하고 우열을 가림으로써 품평을 가하는 일을 기록.

10. 규잠規箴 - 충정한 말로 서로 권계하는 일을 기록.


11. 첩오捷悟 - 총명한 재지才智로 생각이 민첩하고 깨달음이 신속한 일을 기록.

12. 숙혜夙慧 - 어린 나이에 총명한 지혜를 갖춘 일을 기록.

13. 호상豪爽 - 기품이 호탕하고 시원스러워 범속하지 않은 일을 기록.

14. 용지容止 - 주로 준수한 용모와 훌륭한 행동거지에 관한 일화를 기록.

15. 자신自新 - 잘못을 뉘우치고 개과천선한 일을 기록.


16. 기선企羨 - 남의 훌륭한 덕망을 흠모하여 따르는 일을 기록.

17. 상서傷逝 - 죽은 자를 애도하는 여러 가지 언행을 기록.

18. 서일棲逸 - 산속에서 은거하는 은자들에 관한 일을 기록.

19. 현원賢媛 - 어진 품덕品德을 갖춘 부녀자들의 언행을 기록.

20. 술해術解 - 기예에 달통하여 의심과 어려움을 잘 풀어내는 일을 기록.


세설신어세설신어


21. 교예巧藝 - 서법, 회화, 조각, 건축, 기예棋藝, 기사騎射 등의 정교한 재주와 예술을 기록.

22. 총례寵禮 - 신하에 대한 임금의 은총이나 하관에 대한 상관의 예우를 기록.

23. 임탄任誕 - 죽림칠현을 중심으로 그들의 거리낌 없는 방종스런 행동을 기록.

24. 간오簡傲 - 예법을 무시하고 거만하거나 오만불손한 행위를 기록.

25. 배조排調 - 조롱과 조소를 통하여 풍자하는 일을 기록.


26. 경저輕詆 - 남을 멸시하고 헐뜯는 일을 기록.

27. 가휼假譎 - 휼책譎策과 농간으로 남을 속이는 일을 기록.

28. 출면黜免 - 관직에서 축출되거나 파면당하는 일을 기록.

29. 검색儉嗇 - 절검節儉과 인색의 두 유형의 일을 기록.

30. 태치汰侈 - 지나치게 사치하고 재물을 낭비하는 일을 기록.


31. 분견忿狷 - 성질이 조급하고 쉽게 화내는 일을 기록.

32. 참험讒險 - 음험하게 남을 비방하고 헐뜯는 일을 기록.

33. 우회尤悔 - 잘못을 저지른 뒤 자신을 탓하고 후회하는 일을 기록.

34. 비루紕漏 - 주의 깊게 처신하지 않아서 낭패 본 일을 기록.

35. 혹닉惑溺 - 주로 여색을 탐닉하여 이성을 잃은 일을 기록.

36. 구극仇隙 - 서로 원수처럼 반목하는 일을 기록.


세설신어 용지편 일러스트세설신어 용지편 일러스트

(출처 : 世说新语·容止)


① 교화성

세설신어의 두드러진 내용 특성 중의 하나는 바로 교화성이다. 이는 유의경의 존유尊儒관념에서 기인한 것으로 세설신어 전편에 걸쳐서 충효, 수신, 권선징악, 개과천선, 권면 등 교훈과 감계鑑戒를 드리운 고사가 산재해 있다. 노장사상의 유행으로 유가의 예교가 쇠미해져 가던 당시의 상황에서 교화성이 짙은 이러한 고사들은 매우 실질적이고도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


② 해학[풍자]

 지인소설의 가장 큰 내용 특징 중의 하나는 오락성에 있다. 세설신어에서 이러한 오락성은 주로 해학과 풍자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독자들은 웃고 재미있어하면서 동시에 말 속의 뼈있는 암시를 전달받을 수 있다.


③ 사회 고발성

 위진 시대는 특권 귀족층에 의하여 주도되던 문벌 사회로서 사족 계급이 문벌에 의지하여 정치와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무자비한 탄압정치를 자행하고 백성들을 수탈하였으며 방탕하고 사치스런 생활을 누렸다. 세설신어에는 이러한 사회적 모순을 객관적으로 고발한 고사가 적잖이 들어있다.


세설신어란세설신어란

(출처 : 바이두 이미지)


④ 청담 논변

세설신어에는 위진 시대 현학의 융성에서 기인한 명사들의 청담 논변이 그 주요한 내용 특성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청담 논변은 주로 문학편에 집중되어 있는데 노장학을 중심으로 한 ‘삼현(三玄)’ 에 관한 것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⑤ 인물품평

세설신어의 고사 전체가 인물품평에 관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세설신어에서 인물품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하다. 이러한 인물품평은 주로 상예와 품조편에 많은 고사가 실려 있는데, 그 품평의 실제 방법은 품평자가 대상 인물의 본성, 재능, 식견 등 특성을 직접 서술하여 품평하는 경우, 대상 인물의 특성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비유하여 품평하는 경우, 두 사람이나 그 이상의 대상 인물에 대하여 그들의 언행, 재덕才德 등을 통하여 서로의 우열과 고하를 비교하여 품평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2) 세설신어의 특징


① 고사의 짧은 편 폭

세설신어의 고사는 보통 100여 자 정도로 하나의 고사를 이루고 있는데 짧은 것은 10여 자밖에 안 되는 것도 있다. 가장 긴 고사도 300~400자를 넘지 않는다. 이러한 짧은 편 폭은 수많은 대상 인물의 언행 중에서 가장 정채롭고 특출한 부분만을 모아 기록해야 하는 지인소설의 기술형식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자연히 묘사언어의 간결성이 필요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의미가 매우 함축적인 경향을 띠게 된다.


② 주제에 따른 편목 설정

세설신어를 이루고 있는 수많은 단편적인 고사들은 서로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전혀 없으며 다만 일정한 편목[주제] 아래 내용으로 유사한 고사들이 모여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각각의 고사를 따로 떼어 놓았을 때는 그것이 갖는 의미가 모호해질 수가 있으며 하나의 편목 안에 들어 있는 전체 고사를 종합해 봐야만 비로소 작자가 제시하는 주제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평안한 중국 일상의 풍경평안한 중국 일상의 풍경

(출처 : 바이두 이미지)


③ 중심인물의 부재

세설신어의 또 다른 구성특성은 중심인물이 없다는 점인데 이 경우는 여타 지인소설과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고사마다 서로 다른 인물이 등장한다. 그중에는 한 사람이 여러 조에 등장하기도 하는데, 사안謝安은 무료 114조에 걸쳐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를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러한 구성특성은 대상 인물의 언행과 사적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여 각 편목에 분산시켜 놓았으므로 개개인의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3) 세설신어 작품감상


품조(品藻)


诸葛瑾 •弟亮 及从 弟诞 ,并有盛名,各在一国。于时 以为 ‘蜀得其龙,吳得其虎,魏得其狗。’诞在魏,与夏侯玄 齐 名。瑾在吳,吳朝 服 其弘 量。

제갈근诸葛瑾과 동생 제갈량诸葛亮 및 사촌동생 제갈탄诸葛诞은 모두 훌륭한 명성이 있었는데, 각자 다른 나라에서 [벼슬하고] 있었다. 당시 사람들은 [그들을 놓고] ‘촉蜀은 용을 얻었고 오吳는 범을 얻었으며, 위魏는 개를 얻었다’고 생각했다. 제갈탄은 위에 있었는데 하후현夏侯玄과 명성을 나란히 했으며, 제갈근은 오에 있었는데 오의 조정에서 그의 큰 기량에 탄복했다 .


세설신어 타이포그래피세설신어 타이포그래피

(출처 : 世说新语 - 仿小塚明朝体做的字体练习)


태치(汰侈)


武帝 尝 降 王武子 家,武子供 馔 ,并用琉璃 器。婢子 百余人,皆绫罗  絝衤罗 ,以手擎 饮食。蒸豚肥美,异于常味。帝怪而问之,答曰:“以人乳饮豚。”帝甚不平 ,食未毕 ,便 去。王•石 未知作

무제(武帝 : 사마염司馬炎)가 한번은 왕무자王武子(왕제 王濟)의 집으로 행차했더니, 무자가 주찬酒饌을 대접했는데, 모두 유리그릇을 사용했다. 시녀 백여 명이 모두 화려한 비단치마와 저고리를 입고서 두 손으로 음식을 받쳐들었다. [음식 중에서] 찐 새끼돼지 고기가 통통하고 맛이 좋았는데, 보통의 맛과는 달랐다.


무제가 이상하게 여겨 물었더니, [무자가] 대답하길: “사람의 젖을 새끼돼지에게 먹였습니다.”라고 했다. [이 말을 듣자] 무제는 매우 불쾌하여 식사가 끝나기도 전에 그냥 가 버렸다. [이것은] 왕개王愷나 석숭石崇도 미처 알지 못했던 일이었다.


-- 인용 끝 --


예전에 세설신어 주문해 놓고 기다리는 중에 봤었던 자료인데 지금봐도 재밌네요. 학생들의 좋은 레포트만 모아서 따로 보는 사이트라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일이 일어나진 않겠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