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68년 6월 29일에 고구려(高句麗) 공격을 위해 각 도(道)의 총관(摠管)들이 출발함
나당 연합군의 고구려 공격
조주(助州) : 668/9.21, 고구려(高句麗) 멸망. 영공(英公)과 당(唐)으로 돌아감, 본기 - 당(唐)
수세(藪世)
천광(天光)
668/9.21, 당(唐)으로 돌아가는 김인문(金仁問) 등을 수행함, 본기 - 당(唐)
흥원(興元)
668/9.21, 당(唐)으로 돌아가는 김인문(金仁問) 등을 수행함, 본기 - 당(唐)
670, 백제(百濟) 전투에서 죄를 지었으나 사면됨, 본기 - 당(唐), 백제(百濟)
본득(本得) : 668, 사천(蛇川)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박경한(朴京漢)
선극(宣極)
668, 평양성(平壤城大門)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김둔산(金遁山) : 668, 평양(平壤)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북거(北渠) : 668, 평양성북문(平壤城北門)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구기(仇杞) : 668, 평양남교(平壤南橋)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세활(世活) : 668, 평양소성(平壤少城)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김상경(金相京)
구율(求律)
668, 사천(蛇川) 전투에서 공을 세움, 본기 - 고구려(高句麗)
지진산(祇珍山) : 669, 당(唐)에 자석(磁石)을 바침, 본기 - 당(唐)
구진천(仇珍川) : 669, 당(唐)에서 쇠뇌 만드는 기술을 고의로 선보이지 않음, 본기 - 당(唐)
복한(福漢) : 669, 당(唐)에 쇠뇌를 만들 좋은 목재를 가져감, 본기 - 당(唐)
설오유(薛烏儒) : 670/4, 개돈양(皆敦壤)에 이르러 말갈과 연합함, 본기 - 고구려(高句麗)
: 압록강(鴨淥江), 옥골(屋骨), 개돈양(皆敦壤)
중신(衆臣)
의관(義官)
670, 백제(百濟) 전투에서 죄를 지었으나 사면됨, 본기 - 당(唐), 백제(百濟)
천관(天官) : 670, 백제(百濟)의 고토(古土)를 당(唐)에게서 많이 빼앗음, 본기 - 당(唐), 백제(百濟)
달관(達官) : 670, 백제(百濟) 전투에서 죄를 지었으나 사면됨, 본기 - 당(唐), 백제(百濟)
김수미산(金須彌山) : 670, 안승(安勝)을 고구려 왕으로 봉하는 책명문을 전함, 본기 - 고구려(高句麗)
부과(夫果) : 671, 백제(百濟)와의 웅진(熊津) 전투에서 전사함, 본기 - 백제(百濟)
당천(當千) : 671, 당(唐)의 수송선 70여척을 격파함, 본기 - 당(唐)
박문준(朴文俊)
671, 외교 마찰로 김인문(金仁問)과 옥중에 갇혀 있었음. 당(唐) 고종(高宗)에게 거짓 아부를 함, 유사 - 당(唐)
: 낭산(狼山) 남쪽의 천왕사(天王寺)
원우(遠禹) : 671, 강수(强首)의 표문을 당(唐) 고종(高宗)에게 바치며 김인문(金仁問)을 풀어줄 것을 요청함, 유사 - 당(唐)
효천(曉川)
의문(義文)
산세(山世)
능신(能申)
두선(豆善)
안나함(安那含)
양신(良臣)
672, 고구려(高句麗)와 연합해 당(唐)과 싸웠으나 패배해 전사함, 본기 - 당(唐)
: 고구려(高句麗), 백수성(白水城), 석문(石門)
원천(原川)
변산(邊山)
672, 당(唐)에 사죄함, 본기 - 당(唐), 백제(百濟)
만족의 조상으로 추정하는 말갈족
(만족의 조상으로 추정하는 말갈 : 사진 오른쪽, 출처는 바이두)
철천(徹川) : 673, 서해(西海)를 방어함, 본기
풍훈(風訓)
675, 당(唐)에 숙위(宿衛)였음.
김진주(金眞珠)의 아들로 아버지가 사형되자 이를 빌미로 당의 향도가 되어 신라를 공격함, 본기 - 당(唐)
: 천성(泉城)
문훈(文訓)
675, 풍훈(風訓)의 공격을 격파하고 많은 전리품을 얻음, 본기 - 당(唐)
: 천성(泉城)
소나(素那)
675, 말갈(靺鞨)의 침입을 방어하다 전사함, 본기 - 말갈(靺鞨)
: 아달성(阿達城)
탈기(脫起)
675, 말갈(靺鞨)의 침입을 방어하다 전사함, 본기 - 말갈(靺鞨)
: 적목성(赤木城)
유동(儒冬) : 675, 칠중성(七重城)을 방어하다 전사함, 본기 - 당(唐), 거란(契丹), 말갈(靺鞨)
선백(仙伯)
실모(悉毛)
거시지(居尸知)
676, 당(唐)의 침입을 방어하다 전사함, 본기 - 당(唐)
: 도림성(道臨城)
시득(施得)
676, 당(唐)과의 크고 작은 20번의 전투를 모두 이김당(唐), 본기 - 당(唐)
: 소부리주(所夫里州), 기벌포(伎伐浦)
신라 선인도
신라 선인도
(출처 : 바이두)
김사양(金思讓)
703, 당(唐)나라에 입조함, 본기 - 당(唐)
704, 당(唐)에서 돌아와 최승왕경(最勝王經)을 바침, 본기 - 당(唐)
김정종(金貞宗) : 713, 당(唐)에 파견되었다가 조서를 가지고 돌아옴, 본기 - 당(唐)
김수충(金守忠) : 714, 당(唐)에 보내져 숙위가 됨, 본기 - 당(唐)
박유(朴裕) : 714, 당(唐)에 파견되어 신년하례(賀正)를 함, 본기 - 당(唐)
김풍후(金楓厚)
715, 당(唐)에 조공을 바침, 본기 - 당(唐)
716, 당(唐)에서 귀국함, 본기 - 당(唐)
수충(守忠)
717, 당(唐)에서 귀국해 문선왕(文宣王)10철(十哲)72제자(七十二弟子)의 화상(圖)을 바쳐
태학(太學)에 안치됨, 본기 - 당(唐)
김인일(金仁壹)
722, 당(唐)에 파견되어 신년하례(賀正)를 하며 방물(方物)도 바침, 본기 - 당(唐)
포정(抱貞)
정완(貞菀)
723, 당(唐)에 바쳐진 미인이지만 당(唐)에서 돌려보냄, 본기 - 당(唐)
천승(天承) : 723, 딸 포정(抱貞)이 당(唐)에 보내지지만 돌아옴, 본기 - 당(唐)
충훈(忠訓) : 723, 딸 정완(貞菀)이 당(唐)에 보내지지만 돌아옴, 본기 - 당(唐)
김무훈(金武勳) : 724, 당(唐)에 파견되어 신년하례(賀正)를 함, 본기 - 당(唐)
김충신(金忠臣)
726, 당(唐)에 파견되어 신년하례(賀正)를 함, 본기 - 당(唐)
734, 당(唐) 황제에게 표를 올려 허락을 얻음, 본기 - 당(唐)
김근질(金釿質) : 726, 당(唐)에 조공을 하고 벼슬을 얻어 돌아옴, 본기 - 당(唐)
김사종(金嗣宗) : 728, 당(唐)에 보내 토산물을 바치고 겸하여 자제들의 국학 입학을 요청함. 관직을 제수 받아 돌아옴, 본기 - 당(唐)
김지만(金志滿) : 730, 당(唐)에 물품을 바치고 관직을 제수 받아 돌아옴, 본기 - 당(唐)
김지량(金志良) : 731, 당(唐)에 파견되어 신년하례(賀正)를 하곤 황제의 조서를 가지고 귀국함, 본기 - 당(唐)
김사란(金思蘭) : 733, 당(唐)에서 돌아와 말갈 남부를 공격하지만 실패함, 본기 - 당(唐), 발해(渤海), 말갈(靺鞨)
지렴(志廉)
733, 당(唐) 황제의 은혜에 사례하자 큰 상을 받음, 본기 - 당(唐)
734, 당(唐)에 사례하고 벼슬을 얻어 돌아옴, 본기 - 당(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