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 (재위 연도), 대상, 물품, 이유
☆ 문자명왕(文咨明王)
고구려 문자명왕
491(1) 북위 - 의관衣冠, 복식服物, 수레깃발車旗之飾, 위나라 효문제가 사신을 보내 선물함
491(1) 북위 - 조공朝貢, 3차례
493(3)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494(4)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495(5) 북제 - 조공朝貢
497(7) 북위 - 조공朝貢
499(9) 북위 - 조공朝貢
500(10)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501(11) 북위 - 조공朝貢
503(13) 북위 - 조공朝貢, 세종이 사신을 예실불을 동당에서 접견함
505(15) 북위 - 조공朝貢
506(16) 북위 - 조공朝貢
507(17)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508(18) 북위 - 조공朝貢
509(19)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511(21) 양 - 조공朝貢
511(21) 북위 - 조공朝貢
512(22) 북위 - 조공朝貢, 3차례
513(23) 북위 - 조공朝貢
514(24) 북위 - 조공朝貢
515(25) 양 - 조공朝貢
516(26) 북위 - 조공朝貢
517(27)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 안장왕(安臧王)
고구려 안장왕
520(2) 양 - 조공朝貢, 2차례
520(2) 양 - 의관衣冠, 칼劒, 패물佩, 양나라 사신 강주성이 전함
523(5) 북위 - 좋은 말 10필良馬
526(8) 양 - 조공朝貢
527(9) 양 - 조공朝貢
☆ 안원왕(安原王)
고구려 안원왕
532(2) 북위 - 의관衣冠, 거기車旗, 위나라에서 책봉하면서 보냄
532(2) 양 - 조공朝貢, 3차례
533(3) 북위 - 조공朝貢
534(4) 북위 - 조공朝貢
535(5) 양 - 조공朝貢
수레깃발車旗之飾
(수레 깃발. 요즘으로 치면 이런 거랑 비슷)
536(6) 동위 - 조공朝貢
537(7) 동위 - 조공朝貢
539(9) 동위 - 조공朝貢
540(10) 동위 - 조공朝貢
541(11) 양 - 조공朝貢
542(12) 동위 - 조공朝貢
543(13) 동위 - 조공朝貢
544(14) 동위 - 조공朝貢
☆ 양원왕(陽原王)
고구려 양원왕
545(1) 동위 - 조공朝貢
546(2) 동위 - 조공朝貢
547(3) 동위 - 조공朝貢
548(4) 동위 - 조공朝貢
548(4) 국내(환도) - 상서로운 벼嘉禾
상스러운 쌀. 가화嘉禾
(요즘도 잘 팔리는 상서러운 벼)
549(5) 동위 - 조공朝貢
550(6) 북제 - 조공朝貢
551(7) 북제 - 조공朝貢
555(11) 북제 - 조공朝貢
☆ 평원왕(平原王)
고구려 평원왕
561(3) 진 - 조공朝貢
564(6) 북제 - 조공朝貢
565(7) 북제 - 조공朝貢
566(8) 진 - 조공朝貢
570(12) 진 - 조공朝貢
571(13) 진 - 조공朝貢
573(15) 북제 - 조공朝貢
574(16) 진 - 조공朝貢
577(19) 북주 - 조공朝貢
581(23) 수 - 조공朝貢
582(24) 수 - 조공朝貢, 2차례
583(25) 수 - 조공朝貢, 3차례
584(26) 수 - 조공朝貢
585(27) 진 - 조공朝貢
☆ 영양왕(孀陽王)
고구려 영양왕
590(1) 수 - 옷 한 벌衣一襲, 수문제가 상개부의동삼사로 임명하고, 전왕의 요동군공의 관직을 계승케 하고, 옷 한 벌을 줌
591(2) 수 - 수레車, 복식服, 고구려왕으로 책봉하고 수레와 복식을 줌
592(3) 수 - 조공(朝貢
597(8) 수 - 조공朝貢
600(11) 수 - 조공朝貢
☆ 영류왕(榮留王)
고구려 영류왕
619(2) 당 - 조공朝貢
621(4) 당 - 조공朝貢
622(5) 당 - 조공朝貢
623(6) 당 - 조공朝貢
624(7) 당 - 조공朝貢
628(11) 당 - 봉역도封域圖
629(12) 당 - 조공朝貢
640(23) 당 - 조공朝貢, 사신으로 세자 환권을 파견
640(23) 당 - 특별히 후한 예물賚之特厚, 환권이 파견된데 대한 보답
642(25) 당 - 조공朝貢
642(25) 당 - 3백단의 폐백贈物, 당태종이 왕이 별세한 소식을 듣고 3백 단의 폐백을 부의로 보냄
☆ 보장왕(寶臧王)
고구려 보장왕
643(2) 당 - 조공朝貢
644(3) 당 - 조공朝貢
645(4) 당 - 겹실로 짠 비단 1백필 百疋, 안시성 성주가 시위 후 돌아가는 당태종에게 절을 올렸다 해서 내려 줌
646(5) 당 - 미인 2명美人, 이전의 전쟁에 대해 사죄를 표하며 바침
646(5) 당 - 활弓, 의복服, 당 태종이 646년 퇴각할 때 연개소문에게 줬다 함
648(7) 당 - 조공朝貢
652(11) 당 - 조공朝貢
ps. 조공이 엄청나게 많다. 손권이 조조에게 항복할 마음이 없음에도 신하를 자청하고 황제에 오르라 권유한게 떠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