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량富良
862, 입당사入唐使로 당唐에 가는 길에 익사함, 본기 - 당唐
김윤金胤
869, 당에 사은謝恩하고 여러 물품 바침, 본기 - 당唐
이동李同
869, 김윤金胤을 수행해 당唐에 들어가 당나라 말을 배움, 본기 - 당唐
김인金因
870, 당唐에 파견되어 숙위宿衛를 함, 본기 - 당唐
낭공대사郎空大師
870, 김긴영金緊榮을 따라 당唐에 감, 고승전 - 당唐
875, 성도부成都府에서 예배함, 고승전 - 당唐
김긴영金緊榮
870, 당唐에 조공을 바침, 고승전 - 당唐
고운 최치원 선생 상
(출처 : 최치원)
최치원崔致遠
874, 당唐에서 과거에 급제함登科, 본기 - 당唐
875, 반란을 일으킨 황소黃巢의 토벌군에 참여함, 본기 - 당唐
885, 당唐에서 귀국함, 본기 - 당唐
최승우崔承祐
890, 당唐으로 유학을 감, 본기 - 당唐
893, 당唐에서 과거에 급제함, 본기 - 당唐
최언위彦撝
885, 당唐으로 유학을 갔다가 과거에 급제함, 본기 - 당唐
909, 당唐에서 귀국함, 본기 - 당唐
최치원 일러스트
(출처 : 고운 최치원)
김처회金處誨
893, 당唐에 정절旌節을 바치러 가다 익사함, 본기 - 당唐
김문울金文蔚
906, 당唐에서 귀국함, 본기 - 당唐
아자개阿玆盖
윤웅閏雄
920, 고려高麗에 투항함, 본기 - 고려高麗
김율金律
920, 후백제後百濟의 공격을 막지 못하자 고려高麗에 구원 요청을 함, 본기 - 고려高麗
원봉元逢
922, 고려高麗에 투항함, 본기 - 고려高麗
929, 후백제後百濟에 투항함, 본기 - 후백제後百濟
신라 3최의 다른 생각
순식順式
홍술洪述
922, 고려高麗에 투항함, 본기 - 고려高麗
성달城達
양문良文
923, 왕명으로 고려高麗에 투항함, 본기 - 고려高麗
김낙金樂
923, 후당後唐에 입조朝하며 방물方物을 바침, 본기 - 후당後唐
924, 후당後唐에 조공朝貢을 바치자 후당에서 관직을 제수해 돌려보냄, 본기 - 후당後唐
김유경金幼卿
923, 후당後唐에 입조朝하며 방물方物을 바침, 본기 - 후당後唐
왕봉규王逢規
924, 신라에서 독립해 독자적인 세력을 이뤄 후당後唐과 교섭함, 본기 - 후당後唐
고려의 후삼국 통일
(출처 : 후삼국의 통일과 고려의 성립)
후백제에 밀린 신라 경순왕
능문能文
925, 고려高麗에 투항하려 하지만 왕건王建이 되돌려 보냄, 본기 - 고려高麗
장분張芬
박술홍朴術洪
이충식李忠式
927, 후당後唐에 조공朝貢을 바치자 후당에서 관직을 제수해 돌려보냄, 본기 - 후당後唐
유문有文
928, 후백제後百濟에 투항함, 본기 - 후백제後百濟
선필善弼
930, 고려高麗에 투항함, 본기 - 고려高麗
오대십국 후당의 영토
(출처 : 360doc)
김유렴金裕廉
931, 볼모質로서 왕건王建을 따라감, 본기 - 고려高麗
김불金昢
이유李儒
932, 후당後唐에 조공朝貢을 바침, 본기 - 후당後唐
김봉휴金封休
935/10, 고려高麗에 항복을 청함, 본기 - 고려高麗
김억렴金億廉
935/12, 고려高麗에 항복하고 딸을 왕건王建에게 시집보냄, 본기 - 고려高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