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6/04 4

그림 속 백제 사신의 모습 (양직공도)

양직공도梁職貢圖는 6세기 중국 양나라를 찾은 백제, 왜 등 외국 사신들의 모습을 그리고, 그 나라의 역사와 풍속을 기록한 화첩이다. 지금 남아 있는 그림은 양나라 원제元帝(재위 552~554) 소역이 왕자 시절인 539년에 제작한 원본을 1077년 북송 시대에 모사한 것이다. 백제국사百濟國使로 기재된 그림 속 백제 사신의 모습은 가늘고 길게 째진 눈매에 낮고 넓은 콧방울, 작지만 붉은 입술, 오동통한 볼이 특징이다. 머리에 흰색 관을 쓰고 두루마기와 바지를 입었으며, 검은색 가죽신을 신었다. 백제 사신 그림 옆에는 백제의 유래와 도성, 제도, 풍속 등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이 백제 사신 그림은 백제 사람의 구체적인 모습을 담은 유일한 자료이다. 타이완臺灣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에 소장된 남당고덕겸모..

동아시아 역사 2017.06.04

우리 민족 인쇄의 시작과 역사, 사례

인쇄의 시작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또 전달받는 정신적, 심리적인 교류는 인류문화의 시작과 함께 존재해왔다. 음성, 몸짓과 같은 원시적인 매개수단에서부터 언어와 문자, 인쇄를 거쳐 현대의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다양한 소통수단을 통해 끊임없이 정보를 생산, 전달하고 유통해왔다. 또 이러한 과정의 기술적인 진보와 발전은 곧 인류 문명사의 근간이 되어왔다. 그 가운데 인쇄는 정보의 기록과 전달을 위한 가장 획기적이며 합리적인 매체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인류역사에서 현재와 같이 정보의 대량 보급과 유통이 가능해진 것은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니다. 인간은 음성과 몸짓을 통한 원시적인 의사 표현 단계를 지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만..

동아시아 역사 2017.06.04

조선 문종10. 문종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단종을 두고 눈을 감다)

"조선 문종10. 문종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단종을 두고 눈을 감다)" 왕실의 권력 공백 사태 단종을 두고 눈을 감은 문종의 마음? 문종은 생전에 아들 걱정이 많았고, 집현전 학자들과의 친분이 좋았습니다. 하루는 신숙주, 박팽년 등과 이야기를 나누다 어린 단종을 무릎 위에 앉히며, 이 아이를 당신들이 잘 보필해야 한다는 말도 했었죠. "임금이 병환이 나니 집현전의 여러 신하를 불러 토론하다가 무릎에 단종을 앉히고 '내가 이 아이를 경들에게 부탁한다'하고 술을 내려 주었다." 연려실기술 제4권 문종조 고사본말(文宗朝故事本末) 문종은 정말 계유정난의 조짐을 눈치채지 못했을까? 문종은 생전에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의 세력과 조짐이 수상하다는 언관들의 말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세종은 왕자(대군)라 해도 능력이 있다..

동아시아 역사 2017.06.04

조선 문종9. 단종과 경혜공주를 두고 사망한 문종

"조선 문종9.단종과 경혜공주를 두고 사망한 문종" 1452년 음력 5월. 궁에 죽음의 기운이 드리운다. 왕위에 오른 지 2년 3개월. 문종은 갑자기 생을 마감한다. 세자 나이 12살. 개국 60년 만에 조선은 권력 공백 사태를 맡게 된다. 김종서대 수양대군으로 나뉜 궁은 곧 긴장감에 휩싸인다. 문종의 죽음이 불러온 비극 문종실록에 보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신민臣民의 슬퍼함이 세종世宗의 상사喪事보다도 더하였다.", 1452년 5월 14일 문종실록 비록 재위 기간은 짧았지만, 백성들에겐 좋은 기억이 남았던 왕이었습니다. 그 당시 백성들에게도 아버지 세종을 꼭 빼닮은 성군이란 이미지가 강했고, 어린 단종을 두고 세상을 떠난 안타까움이 더해졌을 겁니다. 문종을 죽음으로 몰아간 종기? 조선왕과 세자의 일..

동아시아 역사 2017.06.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