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6/01 4

조선 문종1. 비극의 시작, 세자빈 권 씨 사망

"조선 문종1. 비극의 시작, 세자빈 권 씨 사망" 세종 23년(1441) 7월 23일, 왕실에 기쁜 소식이 전해진다. (1441년 7월 23일 단종 탄생 (세종 23년)) 오랜 기다림 끝에 원손이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원손이 태어난 지 하루 만에 세자빈 권 씨가 숨을 거둔다. (세자빈 권 씨. 1441년 7월 24일 단종 출산 후 하루만에 사망 (세종 23년)) 경사와 함께 찾아온 비극. 세자빈의 죽음은 왕실에 불어닥칠 피바람을 예고하고 있었다. 문종 비극의 시작, 세자빈 권 씨 단종 낳고 죽던 날 문종은 우리의 역사상 처음으로 왕비가 안 계신 왕이었습니다. 왕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왕비가 없었던 왕이셨던 것이죠. 문종 또한 일찍 돌아가시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는데, 만약 왕비가 살아계셨..

동아시아 역사 2017.06.01

한글날과 훈민정음 해례본 간단히 이해하기

일제 강점기 시절, 국문학자 김태준은 제자로부터 뜻밖의 이야기를 듣는다. "선생님, 저희 본가에 훈민정음과 비슷한 책이 있던데요." 김태준은 그 책이 1446년 간행된 훈민정음 해례본의 진본임을 확인한다. 우리 말과 글이 탄압받던 일제강점기. 훈민정음해례는 민족 문화재 수집가 간송 전형필에게 전해진다.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지 497년. 베일에 싸여있던 한글 창제의 원리가 드디어 빛을 보게 된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 한글 창제의 미스터리 진짜 영화 같은 이야기입니다. 극적인 이야기입니다. 제자가 우리 집에 해례본이 있다라는 이야기를 한 겁니다. 영화 같은 이야기죠. 우리 집에 훈민정음 해례본이 있어요라는 이런 이야기 들으면 청천벽력과 같은 이야기 아닙니까. 1940년이면, 일제강점기고 조선의 교육과 ..

동아시아 역사 2017.06.01

[국립중앙박물관] 삼국시대 부터 고려까지 국가들 소개

유물은 솔직히 제대로 볼 줄 모르고, 다른 블로거들이 많이 올려놨기에 텍스트 위주로 올려 봅니다. 신라 - 신라는 한반도 남동쪽에 있던 진한辰韓 12국 가운데 경주 지역의 사로국斯盧國이 성장, 발전한 나라이다. 주변의 소국을 병합하여 영토를 확장한 신라는 6세기에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받아들여 정치와 사상의 기반을 마련하고 고대국가 체제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대가야大伽倻를 병합(562년)하는 등 통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신라 문화는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과 불교로 대표된다.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금관, 귀걸이 등은 신라를 '황금의 나라'로 부를 만큼 화려하고 뛰어난 세계적 금공예품이다. 불교는 골품제骨品制와 함께 신라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다. ..

동아시아 역사 2017.06.01

처음 만난 조선인에 대한 기록 - 하멜표류기

8월 15일 바람이 너무 심해서 갑판 위에서는 서로의 말소리조차 들리지 않았으며 더더구나 작은 돛조차도 올릴 수가 없었다. 배가 바닷물을 많이 뒤집어썼기 때문에 바닥의 물기를 퍼내느라 일을 계속해야 했다. 바다에 계속 비바람이 몰아쳐서 연이어 물을 뒤집어썼기 때문에 우린 침몰당하여 버릴 것 같은 생각이 들곤 했다. 저녁 무렵 이물[船首]과 고물이 파도에 거의 떨어져 나갔고 선수船首 사장斜檣마저 헐거워져서 이물 전체를 잃어버릴 위기에 처했다. 이물을 몽땅 잃지 않으려고 모든 수단을 다 동원했으나 배가 심하게 요동치고 집채만 한 파도가 연이어 우리를 덮치는 바람에 실패하고 말았다. 우리는 파도를 벗어나기 위한 더 나은 방도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앞 돛대의 돛을 조금 느슨하게 함으로써 우리의 생명과 배와 회사..

동아시아 역사 2017.0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