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역사

세설신어, 위진남북조 송나라 유의경 명저, 서평 (명문당)

믿을만한 건강정보 2017. 9. 28. 23:03

세설신어, 위진남북조 송나라 유의경 명저, 서평 (명문당)


세설신어 유의경 유송 위진남북조


세설신어

세설신어는 남송 소흥 8년(1138), 동분이란 사람이 보관하던 세설신어 구본과 안수의 수정본을 육유가 상, 중, 하로 나눴다.

안타깝게도, 그때의 세설신어는 중간에 일실 되었고, 이후 명나라 원경이 육유의 수정본을 다시 수집해 내놓았다.


명나라 왕세정은 하양준의 어림을 가하여 세설신어보로 간행했다.

이것이 크게 유행되었는데 이 책은 원래의 세설신어를 많이 삭감하고, 또 순서를 바꾸었는데, 이것에 당송명인들의 사적을 더 가한 것이므로 세설신어의 본디 모습과는 완전히 다르다.


청나라가 되어 왕선겸이 원경본을 가지고 사현강사본을 간행했는데 이것이 오늘날 제일 많이 퍼져있는 세설신어이다.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세설신어가 바로 이것이다.

유의경, 유효표의 세설신어

혼란스러운 서진남북조 시기, 서진은 멸망하고 북방은 5호의 16국 시대로 접어든다. 남조로 도망 온 중원의 명사들은 낭야왕 사마예를 떠받들어 진晉나라 황실을 다시 일으켜 동진을 세운다.


남조의 시작을 알린 동진 이후로 유유의 송, 소도성의 제, 소연의 양, 진패선의 진陳나라가 잇달아 건립된다. 세설신어는 유송이라 불리는 유유의 송나라 황실의 종친 중 하나인 유의경이 집필했다.


유유의 조카로서 장사왕 유도련의 차남으로 동진 안제 원흥 2년(403)에 태어났다. 임천왕 유도규가 아들이 없었으므로 그 양자로 들어가 13세에 남군공을 이어받고 영초 원년(420) 임천왕의 습봉도 받는다.


시간은 흘러 유유의 3남이자 남조에서 보기 드문 성군인 문제 유의륭 치세가 된다. 원가의 치로 유명한 그 시기에 지어진 책 중 하나가 세설신어다. 문제의 사촌형이자 당시 남연주자사였던 그는 휘하의 많은 문인의 도움을 받아 이 책을 지었을 것이다. 


유의경 세설신어 저자 위진남북조


이 책은 처음, 세설世說이라 불리웠다. (세설신어의 신어는 후에 붙음)


그렇게 시간은 또 흘러 소도성의 제나라도 멸망하고 소연의 양나라가 건립된다. 아마도 이 시기에 유효표가 세설신어에 주注를 달았을 것이다. 유효표의 주는 배송지의 삼국지주, 정도원의 수경주와 함께 세상에서 칭송된다고 한다. 


이 책의 독자들도 왜 칭송받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세설신어 목차 소개 (출처 - 중국문학.com [링크])


세설신어 상권 上


1. 덕행德行 : 충의, 효도, 청렴, 인애 등 전통적인 유가도덕에 관한 일을 기록.

2. 언어言語 : 당시 청담가들의 혜어慧語와 문인들의 교언巧言을 중심으로 기록. 당시 사람들의 언어습관을 잘 살펴볼 수 있음.

3. 정사政事 : 주로 동진 통치지배계급의 치적과 정계의 일화를 수록. 당시 정치상황의 일단이 비교적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음.

4. 문학文學 : 노장학老莊學을 중심으로 한 현학玄學, 유학, 불학 등 학술과 당시 문인들의 문학 활동에 관한 기록. 위진시대의 학술사상과 문학관념이 잘 드러나 있음.

세설신어 중권 中


5. 방정方正 : 당시 현사들의 바르고 모범이 되는 언행을 기록.

6. 아량雅量 : 인격이 단아하고 도량이 넓은 일들을 기록.

7. 식감識鑒 : 사리를 식별하고 시비를 감별하는데 뛰어난 일을 기록.

8.  상예賞譽 : 인물의 품격과 재능의 훌륭함에 대한 감상과 칭송을 기록.

9.  품조品藻 : 인물을 비교하고 우열을 가림으로써 품평을 가하는 일을 기록.

10. 규잠規箴 : 충정한 말로 서로 권계하는 일을 기록.

11. 첩오捷悟 : 총명한 재지才智로 생각이 민첩하고 깨달음이 신속한 일을 기록.

12. 숙혜夙慧 : 어린 나이에 총명한 지혜를 갖춘 일을 기록.

13. 호상豪爽 : 기품이 호탕하고 시원스러워 범속하지 않은 일을 기록.


세설신어 하권下


14. 용지容止 : 주로 준수한 용모와 훌륭한 행동거지에 관한 일화를 기록.

15. 자신自新 : 과오를 뉘우치고 개과천선한 일을 기록.

16. 기선企羨 : 남의 훌륭한 덕망을 흠모하여 따르는 일을 기록.

17. 상서傷逝 : 죽은 자를 애도하는 여러 가지 언행을 기록.

18. 서일棲逸 : 산 속에서 은거하는 은자들에 관한 일을 기록.


유의경 위진남북조 세설신어


19. 현원賢媛 : 어진 품덕品德을 갖춘 부녀자들의 언행을 기록.

20. 술해術解 : 기예에 달통하여 의심과 어려움을 잘 풀어내는 일을 기록.

21. 교예巧藝 : 서법, 회화, 조각, 건축, 기예棋藝, 기사騎射 등의 정교한 재주와 예술을 기록.

22. 총례寵禮 : 신하에 대한 임금의 은총이나 하관에 대한 상관의 예우를 기록.

23. 임탄任誕 : 죽림칠현을 중심으로 그들의 거리낌 없는 방종스런 행동을 기록.


24. 간오簡傲 : 예법을 무시하고 거만하거나 오만불손한 행위를 기록.

25. 배조排調 : 조롱과 조소를 통하여 풍자하는 일을 기록.

26. 경저輕詆 : 남을 멸시하고 헐뜯는 일을 기록.

27. 가휼假譎 : 휼책譎策과 농간으로 남을 속이는 일을 기록.

28. 출면黜免 : 관직에서 축출되거나 파면당하는 일을 기록.


위진남북조 세설신어 유의경


29. 검색儉嗇 : 절검節儉과 인색의 두 유형의 일을 기록.

30. 태치汰侈 : 지나치게 사치하고 재물을 낭비하는 일을 기록.

31. 분견忿狷 : 성질이 조급하고 쉽게 화내는 일을 기록.

32. 참험讒險 : 음험하게 남을 비방하고 헐뜯는 일을 기록.

33. 우회尤悔 : 과오를 저지른 뒤 자신을 탓하고 후회하는 일을 기록.


34. 비루紕漏 : 주의 깊게 처신하지 않아서 낭패 본 일을 기록.

35. 혹닉惑溺 : 주로 여색을 탐닉하여 이성을 잃은 일을 기록.

36. 구극仇隙 : 서로 원수처럼 반목하는 일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