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 (재위 연도), 대상, 물품, 이유
☆ 동명성왕(東明聖王)
동명성왕
BC-24(14) 동부여 - 토산물方物, 유화가 동부여에서 죽자 금와가 태후의 예로 장례 지내고 신묘를 세우자 감사의 뜻으로 보냄.
☆ 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왕
6(14) 부여 - 태자 도절都切, 부여왕 대소의 인질 교환을 요청. 그러나 도절이 두려워하여 가지 않음.
☆ 대무신왕(大武神王)
대무신왕
20(3) 부여 - 붉은 까마귀赤烏, 그 까마귀의 머리는 하나이고 몸은 둘이었다.
32(15) 한 - 조공朝貢, 한 나라에 조공하니, 광무제가 왕호를 회복시킴.
☆ 민중왕(閔中王)
민중왕
47(4) 국내(고주리) - 고래의 눈鯨魚目, 동해 사람 고주리가 바쳤는데 밤에도 빛이 났다 함.
☆ 모본왕(慕本王)
모본왕
☆ 대조대왕(大祖大王)
태조왕
77(25) 부여 - 뿔이 세 달린 사슴三角鹿, 꼬리가 긴 토끼長尾免를 부여에서 바침. 왕이 상서로운 것이라 하여 죄수들을 크게 사면함.
95(53) 부여 - 호랑이虎, 부여에서 바침. 길이가 1장 2척이며, 털 빛깔은 환하고, 꼬리가 없었다.
97(55) 국내(동해곡 수령) - 붉은 표범朱豹, 표범의 꼬리가 아홉자였음.
101(59) 한 - 토산물方物.
111(69) 숙신 - 자줏빛 여우 갖옷紫狐, 흰 매白鷹, 흰 말白馬, 숙신이 바침.
114(72) 한 - 조공朝貢
☆ 차대왕(次大王)
차대왕
☆ 신대왕(新大王)
신대왕
☆ 고국천왕(故國川王)
고국천왕
☆ 산상왕(山上王)
산상왕
☆ 동천왕(東川王)
동천왕
245(19) 국내(동해 사람) - 미녀美女, 미녀를 후궁으로 맞음
☆ 중천왕(中川王)
중천왕
☆ 서천왕(西川王)
서천왕
288(19) 국내(해곡 태수) - 고래의 눈鯨魚目, 밤에도 광채가 났다 함.
☆ 봉상왕(烽上王)
14대 봉상왕
☆ 미천왕(美川王)
15대 미천왕
330(31) 후조 - 싸리나무 화살矢, 석륵에게 보냄.
☆ 고국원왕(故國原王)
16대 고국원왕
336(6) 전진 - 토산물方物.
343(13) 후연 - 1천 건의 진기한 보물珍異, 왕이 연 나라에 보내 신하로 칭하고 1천 건에 달하는 진기한 물건을 바침. 연 나라에서 왕 아버지의 시체를 돌려보내고, 왕모는 그대로 볼모로 삼음.
343(13) 전진 - 조공朝貢.
355(25) 후연 - 볼모質, 공물修貢, 왕모를 되돌려 오기 위해 보냄.
☆ 소수림왕(小獸林王)
17대 소수림왕
372(2) 전진 - 불상佛像, 경문經文, 진의 부견이 사신과 중 순도를 파견해 보냄.
372(2) 전진 - 토산물方物, 불상과 경문에 대한 답례.
377(7) 전진 - 조공(朝貢).
☆ 고국양왕(故國壤王)
18대 고국양왕
392(9) 신라 - 볼모 실성質, 우호의 증거로 볼모 받음
☆ 광개토왕(廣開土王)
19대 광개토대왕
400(9) 후연 - 조공朝貢.
☆ 장수왕(長壽王)
20대 장수왕
413(1) 동진 - 붉고 흰 말白馬, 사신으로 장사 고익이 나섬
425(13) 북위 - 조공貢.
435(23) 북위 - 조공貢, 조공과 함께 역대 황제의 이름을 알려 달라고 요청. 위 나라 세조가 제실의 계보와 이름을 기록하여 보냄.
437(25) 북위 - 조공貢.
439(27) 북위 - 조공貢, 2차례.
455(43) 송 - 조공貢.
462(50) 북위 - 조공貢
465(53) 북위 - 조공貢
466(54) 북위 - 조공貢
467(55) 북위 - 조공貢
468(56) 북위 - 조공貢
469(57) 북위 - 조공貢
470(58) 북위 - 조공貢
472(60) 북위 - 조공貢, 이때부터 공물의 수량이 종전보다 배로 늘고 보답으로 위 나라에서 주는 물량도 다소 증가함.
473(61) 북위 - 조공貢, 2차례
474(62) 북위 - 조공貢
북위 시기 고구려 장수왕
474(62) 송 - 조공貢
475(63) 북위 - 조공貢, 2차례
476(64) 북위 - 조공貢, 3차례
477(65) 북위 - 조공貢, 2차례
478(66) 송 - 조공貢
479(67) 북위 - 조공貢, 2차례
481(69) 남제 - 조공(貢)
484(72) 북위 - 조공朝貢
485(73)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486(74) 북위 - 조공朝貢
487(75) 북위 - 조공朝貢
488(76) 북위 - 조공朝貢, 3차례
489(77) 북위 - 조공朝貢, 3차례
490(78) 북위 - 조공朝貢, 2차례
491(79) 북위 - 조공朝貢, 2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