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소 2

한국의 옛 인쇄문화 - 조선의 주자소와 교서관

한국의 옛 인쇄 문화 한국에서 인쇄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각종 그림과 기호, 문장을 비롯하여 한자漢字를 기록한 비문碑文과 금석문金石文 등을 바탕으로 삼국시대에 이르러 형태를 갖춘 기록물이 생산되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시대에 목간木簡, 닥종이에 먹으로 쓴 사경寫經 등이 발견되고 있으며, 문헌상의 기록에서도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역사서를 편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중국으로부터 불교의 전래와 함께 각종 서적이 유입되면서 이를 보급하고 유통하기 위한 인쇄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바이두 이미지) 고려의 인쇄문화는 불교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하였다. 불교국가로서의 이념 및 체제정비와 맞물려 각종 불경과 대장경이 대형 국가사업으로 시행되었다. ..

동아시아 역사 2017.08.01

조선 시대 활자의 조판과 인쇄, 인쇄 관련 규정

주자소1403년(태종 3)에 설립되어 1900년대 초반까지 500여 년간 조선 시대 금속활자의 주조와 인쇄 활동을 주관한 중앙관서 활자의 조판과 인쇄 1. 인판 틀을 준비한다.2. 인판 틀은 네 변에 둘레를 돌리고 중간에 판삼을 마련하고, 각 줄은 계선으로 칸막이를 한다.3. 인쇄하고자 하는 원고 또는 책의 본문을 창준이 차례로 부른다.4. 수장이 활자를 찾아내어, 그 원고 위에 벌려 놓는다.5. 골라 놓은 활자가 한 장 분량이 되면 판에 올린다.6. 균자장은 활자 배열이 끝나면 대나무 조각 등으로 활자의 틈에 끼워 움직이지 않게 한다. 또 활재 다지개 등으로 활자를 다져 수평이 되도록 바로 잡는 작업을 한다.7. 균자장이 판을 짜놓으면 인쇄가 시작된다. 먹솔로 활자면에 먹물을 고루 칠한다.8. 인출장은..

동아시아 역사 2017.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