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호16국 5

유목생활 대신 농경생활을 택한 탁발선비 [북위]

유목생활 대신 농경생활을 택한 탁발선비 [북위] 사실 북위는 등국 초(386~) 부락 해체 때 시동위편민始同爲編民또는 개동편호皆同編戶라는 기록은 곧 탁발선비족이 지난 시절의 유목생활을 버리고 부족 조직을 해체하여 농경민화 된 편호로 개편(농경생활은 곧 한화漢化를 의미)되었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해석인 것 같다. 왜냐하면, 탁발선비가 세운 북위 태조가 후연 정벌을 마치고 대국 평성에 개선한 뒤 성곽을 축조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대군, 선무, 음관, 참합을 경계로 하는 기내를 획정했다. 그 주변의 사방사유四方四維(동, 서, 남, 북과 손巽=동남, 곤坤=서남, 진辰=동북, 건乾=서북)의 기외에는 선비계 유목민의 8부(8국)를 배치하여 각각 8부대인 1명을 임명하여 농상을 권장하고 군수품을 징발하였다. 또 명원제..

동아시아 역사 2017.11.14

중국 삼국시대, 5호16국을 다룬 책 (영웅시대 빛과 그늘 1권)

중국 삼국시대, 5호16국을 다룬 책 (영웅시대 빛과 그늘 1권) 흔히 접하기 힘든 기행문 형식의 책입니다. 저자인 박한제 교수님이 월간중앙에 기고했던 글들을 정리해 묶은 책이라 시중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형태도 아닙니다. 독특한 전개가 주는 신선함 만큼은 좋은 느낌으로 다가왔습니다. 첫 권 영웅시대의 빛과 그늘은 삼국시대와 5호16국 시대가 주제입니다. 무대는 주로 관중이라 일컫는 중국의 중심부입니다. 두 번째 권은 강남의 낭만과 비극이란 제목인데 남조의 역사, 세 번째 권은 제국으로 가는 긴 여정이란 제목으로 북조와 당나라 초기를 다룹니다. 이중 제가 읽은 건 영웅시대의 빛과 그늘, 시리즈 1편(삼국시대, 5호16국시대)입니다. 이 책들을 읽기 전에 위진남북조 시대 전체를 먼저 접해보는 것이 좋을 ..

동아시아 역사 2017.11.07

위진남북조시대 인물화 - 무도천왕 염민 등

위진남북조시대 인물화 - 무도천왕 염민 등 위진남북조시대 인물화 모음입니다. 중국 네티즌들이 올려놓았던 자료들 일부 발췌해 소개합니다. (출처 : 클릭) - 염민 5호16국 시대 염위, 즉 위나라 건국자입니다. 중국 사람들에겐 5호16국 시대 유일한 한족 출신 건국자이기에 좋은 평가를 받는 인물이죠. 그러나 염민의 위나라는 불과 2년 만에 멸망합니다. (가운데 염민) (모용선비와 전쟁에 나서는 염민의 위나라 군대) (모용선비에 패배해 목숨을 잃는 염민) - 유곤 사실상 중원에서 활약하던 한족의 마지막 희망이었습니다. 친한 친구 조적과 함께 어려서부터 무예를 닦고 나라를 위해 헌신하겠다고 맹세한 일화가 유명합니다. 그러나, 중원에서 세력을 잃고 선비족 단필제의 모함에 빠져 자신과 아들, 조카 등이 모두 죽..

동아시아 역사 2017.09.04

위진남북조시대 교과서, 이공범 위진남북조사

위진남북조시대 교과서, 이공범 위진남북조사 머리말 중, "30여 년 동안 중국사를 강의하면서 곤혹스러웠던 것은 수강생들에게 권장할 만한 참고도서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 책이 출간된 2003년만 해도 중국의 혼란스러웠던 위진남북조시대의 통사는 접해보기 힘들었습니다. 당시로선 독자들의 갈증을 풀어줄 책이었음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자인 이공범 교수님도 서문에 밝혔지만, 사학과 학생들을 상대로 한 교과서 성격이 강한 책이기에 아마추어 독자들이 읽기엔 힘든 면이 있습니다. 아마추어 독자들이 원하는 연도별 시대 흐름과 전쟁 이야기, 거기에 속한 인물들의 입체적인 면들은 이 책을 통해선 접하기 힘듭니다. 오히려 당시 토지 제도나 귀족들의 청담, 조세 같이 흥미를 끌기 힘든 요소만 가득하다. (왜냐면, 교..

동아시아 역사 2016.11.08

통만성이란 거대한 성의 특징 [5호16국 하나라 혁련발발]

통만성이란 거대한 성의 특징 [5호16국 하나라 혁련발발] 5호16국 시대, 혁련발발(하나라 세조(381~425), 흉노 출신으로 후진에서 독립함)은 일정 기간 수도를 두지 않고 유격 전술로 주위의 군소 세력을 병합함으로써 그 병력을 증강하는 방법을 취했다. 그는 부하들에게 10년 안에 힘을 길러 강국을 만들겠다는 약속을 한 후 같이 떠돌아다니면서 유목 생활을 계속할 것을 제의했다. 통만성에 수도를 정한 것은 건국 후 10여 년이 지나서였다. 그는 약속을 지킨 것이다. 하나라 혁별발발이 통만성에 쏟은 정력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5호16국 시대, 10여 년간 찬 이슬과 혹한, 그리고 눈보라를 맞으면서 신고의 세월을 보내던 혁련발발이 이곳이다!하고 무릎을 치면서 보금자리로 정한 곳이 바로 통만성이었다. ..

동아시아 역사 2016.11.06